혐오 - 우리는 왜 검열이 아닌 표현의 자유로 맞서야 하는가? Philos 시리즈 23
네이딘 스트로슨 지음, 홍성수.유민석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혐오표현도 표현의 자유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머리와 가슴이 말하는 답이 내겐 다르다. 노골적이고 비상식적인 혐오 표현이 팽배한 이 시대에서 살기란 여간 피곤한 일이 아니다. 거짓, 가짜, 짜깁기 정보가 팩트체크도 제대로 되지 않고 속보, 이슈가 되는 '반지성주의'는 이미 도처에 깔려 있어서 상식을 말하고, 이성적으로 대응하고, 신사답게 행동하는 것이 오히려 손해인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HATE 혐오>를 읽기가 처음엔 버거웠다. 

과연 넬슨 만델라의 말처럼 그들이 혐오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면 사랑하는 법도 배울 수 있을까?

정말로? 뤼얼리?


 <혐오>는 '혐오표현금지법'이 표현의 자유와 평등 원칙을 위반한다고 말한다. 혐오표현금지법은 효과가 없으며 심지어 역효과를 유발한다며 저자는 차별에 맞서는 가장 강력한 해법인 '대항표현'을 제시한다. 

침묵을 깨고 더 많은 표현하기, 소회된 사람들에게 목소리를 내서 힘 실어 주기, 혐오표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혐오 발언자에게 진정한 사과를 요구하기 등을 몇 가지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실 정말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상식이 통하는 사회에서나 이런 해법이 유용하겠다.'라는 생각을 했다. 우리는 '무식하기에 용감한 혐오'들을 얼마나 많이 보고 있는가. 하지만 침묵을 깨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말엔 동의한다.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 덕분에 그나마 이 땅 위에 제 발을 붙이고 서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읽은 <공정감각>에서 저자인 나임윤경 교수는 '기울어진 운동장 한가운데에 공을 가만히 두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굴러가듯이, 중립이라는 명목하의 침묵 또한 기존의 구조대로 흘러가도록 놔두겠다는 엄청난 정치적 선언이다.'라고 말한다. 요즘 어떤 인물이나 사건이 이슈가 되면 사람들은 '일단 중립기어'라는 표현을 쓰곤 하는데 땅이 평평할 때나 중립기어가 (혹은 침묵이) 효과가 있지 경사진 길에서 중립기어를 놓는다는 건 나도 다치고 상대도 다치게 할 수 있는 엄청 위험한 행위가 될 수 있다.


 목소리 내기, 표현하기, 힘 실어주기, 혐오에 관심 갖기.

우리는 언제나 젊지 않기에, 누구나 소수가 될 수 있기에 성숙한 시민으로 한 걸음 나아가기 위한 자세를 알려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