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만든 가난 - 가장 부유한 국가에 존재하는 빈곤의 진실 Philos 시리즈 25
매슈 데즈먼드 지음, 성원 옮김, 조문영 해제 / arte(아르테)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설적이고 확고한 느낌의 책 제목에 이끌려 펼친 이 책은 '가장 부유한 국가인 미국에서 빈곤은 왜 사라지지 않는가'를 말하고 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한국이라고 이름을 바꿔 읽어도 큰 맥락에서는 다를 게 하나 없음을 느꼈다.

 <미국이 만든 가난>에 의하면 미국인 아홉 명 가은데 약 한 명이 가난하다. 미국에 살고 있는 사람 가운데 3800만 명 이상이 기본적인 생필품을 감당할 능력이 안 되고, 1억 800만 명 이상이 1년 에 5만 5000달러 미만으로 생활한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미국은 테일러 스위프트가 콘서트로 10억 달러(1조300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거나, 1초에 150불을 버는 빌게이츠는 길가에 떨어진 돈을 줍는 게 손해라는 등 미국의 부에 관한 이야기들 뿐이다. 

하지만 정말 많은 수의 미국인들이 기회의 땅 미국에서 가난의 고리를 끊지 못하고 마약과 질병과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간다. 

저자는 어떤 이들의 삶을 살찌우기 위해 어떻게 다른 이들의 삶을 위축시키는지 이 책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질 높은 서비스, 엄청난 특가, 새벽 배송, 로켓 배송, 빠른 배달에 열광하는  '우리'가 가난의 원인일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기까지는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하지만 빈곤이 유지되어야 이득을 보는 수많은 '우리'와 '권력'이 존재하는 한 빈곤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도 함께 든다. 빈곤은 자본주의가 만든 최고의 발명품이라고 누군가가 그랬다. 빈곤은 종식될 수 있고, 빈곤을 없애려면 아주 똑똑해야 할 필요도 없다. 빈곤을 충분히 싫어하는 마음만 있으면 된다지만 과연 빈곤은 종식될 수 있을까? 하는 물음표가 함께 했던 시간이다. 


올해 읽은 책 중 가장 의미있는 책이 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밀도 높은 독서였다. 

새로 구입한 인덱스의 1/3을 여기에 다 쓴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