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을 까는 여자들 - 환멸나는 세상을 뒤집을 ‘이대녀’들의 목소리
신민주.노서영.로라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대녀? 이화여대 나온 여자들인가?라는 가벼운 생각으로 집어든 책은 나에게 묵직한 한방을 날렸고, 크고 작은 이슈들로 (하지만 여성들의 생존권을 위해 모두 너무 중요한 문제였던) 떠들썩하다가 이내 곧 잠잠해 졌던 일련의 과정들을 돌이켜보게 했다.

 <판을 까는 여자들>은 남자들의 잔치에 여자는 구색맞추기로 끼워넣은 것 같은 말하자면 '오색찬란한 다양한 반찬들 사이에 뚱하게 껴 있는 밀전병이 되어'버린 느낌이 들게 만드는 요인과 이런 일이 자연스레 받아들여지는 일들을 보며 20대 여자들의 설 자리는 어디에 있는가를 지적하고 문제삼는 세 명의 이대녀들의 글이다. 구절판 행사, 구절판 회사, 구절판 정치에 끊임없이 오르내리며 "오늘 또 구절판 됐어"라고 쓴웃음을 짓는 '이대녀'는 구절판에 오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대신, 구절판은 걷어차고 새 판을 까는 여자들이 되자는 의미로 제목이 지어졌다. 제목의 의미를 알게되자 멋지다, 대견하고 기특하면서도 미안하고 안타깝다는 많은 감정들이 몰아쳤다.

<어떤 나무들은>, 난다, 2021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 아트북스, 2021
<판을 까는 여자들>, 한겨레출판, 2022
이 세 책의 주제는 모두 다르지만 70년대 미국의 사건, 상황들이 조금씩 언급되는데 지금 우리나라의 젠더 문제와 백래쉬(backlash)는 미국의 1970년대와 흡사해 보인다.
갈 길이 멀지만 나아갈 방향이 있음에 희망을 찾아야 할까.

 이 책을 읽으면서 할 말, 하고싶은 말이 참 많았는데 다 읽고나니 어떤 말을 해야할지 모르겠다.
그저 이 책에 언급되었듯 다음 이대녀, 다다음 이대녀와 뜻을 함께하기 위해 마음까지 늙지는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나를 위해, 나의 세 명의 여성 조카들을 위해.

 

 '어머니라는 말은 여성의 이름을 지웠다. 누군가의 어머니, 누군가의 아내, 누군가의 딸로 불리는 동안 여성은 자신을 위한 시간과 자원을 잃었다. 어머니라는 단어는 포용적인 이미지를 묘사하기 위해 손쉽게 사용되기 십상이었고, 그럴수록 여성에게 요구되는 희생은 당연한 것으로 포장되었다. 희생이 아름다운 것이 되는 순간, 희생하는 주체의 행복은 멀어진다.' (P.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