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린 미트 - 인간과 동물 모두를 구할 대담한 식량 혁명
폴 샤피로 지음, 이진구 옮김 / 흐름출판 / 2019년 11월
평점 :
고기반찬 없는 식탁은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육식을 즐기는 내가 과연 먹는 즐거움을 포기하고 비건이 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답을 하는 데는 아마 1초의 시간도 필요치 않을 것이다. '아니오' 나는 절대 육식을 포기할 수 없다. 하지만 늘 내가 먹는 고기가 안전할까 끊임없이 의심을 해 왔다. 인간 광우병을 유발하는 다우너 소(downer cow) 즉, 앉은뱅이 소를 미국에서 도축해 전 세계적으로 큰 파장이 있었고 돼지 콜레라, 조류 독감, 아프리카 돼지 열병이 발생할 때마다 전 지역에 비상이 걸리며 고깃값이 널뛰기를 한다. 얼마 전에는 피프로닐이라는 살충제 성분에 오염된 달걀이 시중에 유통되면서 소비자의 먹거리 안전에 다시금 관심이 쏠리기도 했다. 나라에서 나라로의 여행이 자유로워지고 음식물 또는 원료의 수입이 일상화되면서 음식과 관련된 문제는 비단 한 나라만 국한된 아닌 전 세계적인 위험으로 다가오고 있다.
<클린 미트>의 내용에 의하면 식중독에 의한 사망은 가금이 원인인 경우가 가장 많다. 대장균과 같은 세균은 가축의 내장을 제거하면 인간에게 직접적으로 피해를 줄 일이 없지만 도축을 하는 과정에서 대다수의 동물들이 겁을 먹어 똥을 지리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각종 세균에 육류가 노출되고 그것을 우리가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가히 충격적이지 않을 수 없다. 깨끗해 보이는 육류에서 세균이 검출됐다는 것 때문이 아니라 도축 과정에서 동물들이 느끼는 공포가 얼마나 심한지 체감조차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책에서는 인구가 가장 많은 인도와 중국이 점차 잘 살게 되면서 아주 가끔 먹던 육류가 이제 일상화되어 고기, 달걀, 유제품이 풍족한 미국식 식사를 하게 될 때 감당할 수 없는 육류 소비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키우면 키울수록, 먹으면 먹을수록 지구와 인류에 큰 문제로 다가올 것이 자명하기에 가축을 키우고, 죽여서 음식을 얻는 대신 실험실에서 만든 배양육을 통해 고기를 만드는 이른바 '클린 미트(clean meat)'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지구 환경과 다음 세대에 관심이 많은 유명인을 꼽자면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빌게이츠가 있다. 이들이 오래전부터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고 투자를 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가 바로 '클린 미트'산업이다. 클린 미트는 고기의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방법인데 '세포 농업'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동물의 세포를 분리해 영양분을 공급하며 인큐베이터에서 배양을 하면 원하는 양과 질의 고기를 깨끗한 상태로 얻어낼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고기는 구제역이나 조유 인플루엔자, 인간 광우병, 돼지 콜레라 등으로부터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지구 환경에도 좋고 동물 윤리적 차원에서도 탁월하다. 이렇게 얻어진 고기를 섭취하는 인간의 건강에 대한 것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예전에는 못 먹어서 문제였지만 요즘엔 많이 먹어서 질병을 얻는 게 문제다. 건강하게 많이 먹으면 좋지만 나도 모르는 사이에 성장호르몬, 농약, 대장균, 식품첨가물 등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너무 끔찍하다. 청정 고기가 대중화가 되어야 할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