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절박하게 묻고 신하가 목숨 걸고 답하다
김준태 지음 / 믹스커피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스타그램에서 <왕이 절박하게 묻고, 신하가 목숨 걸어 답하다> 광고를 처음 본 순간, 이미 이 책에 매료되었다. 조선시대의 왕과 신하들이 나눈 대화라니, 그 자체만으로 흥미롭고 궁금증을 자극했다. 이런 대화의 핵심 소재인 책문(冊文)은 당대의 지혜와 가치관, 도덕적 기준을 담은 매우 중요한 문서로, 조선의 석학들이 어떤 삶의 통찰을 우리에게 남겼는지 엿볼 수 있는 매력적인 매개체다. 그리고 이 책은 그런 책문 속에서 시대를 관통하는 '리더십'과 '삶의 지혜'를 꺼내어 현대인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한때 유교와 성리학적 질서의 폐단을 강조하며 선조들의 지혜를 소홀히 봤던 시기가 있었지만, 이 책은 조선 시대 선조들이 오늘날의 우리와 닮은 고민을 나누고, 그 해결을 위해 끝없이 노력하고 공부했던 흔적을 생생히 보여준다. 특히 책이 전하는 대답들은 단순히 과거의 지혜를 넘어서, 오늘날 우리의 삶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어 더욱 가치 있게 다가왔다. 이런 면에서 이 책이 발간된 사실이 정말 기쁘고 반갑다.


책의 구성도 흥미롭다. 왕과 신하의 18가지 문답을 중심으로 진행되지만, 추가로 부록에 실린 9개의 질문과 답변도 독자의 궁금증을 더 깊게 채워준다. 왕의 질문은 당대 조선이 처한 정치, 경제, 외교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지만, 신하들의 답변에는 일관된 ‘중용(中庸)’의 성(性) 개념이 스며들어 있다. 중용에서 말하는 성은 인간 본연의 선한 본질이자 하늘로부터 태생적으로 부여받은 성품을 의미한다. 다만 현실에서는 개인의 욕망과 감정으로 인해 성이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유학자들은 자기 수양과 학문적 실천을 통해 이를 지키는 데 주력했다. 책 속 많은 신하들의 답변에서도 성의 실천을 도야와 자기 발전의 노력으로 해석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러한 성의 실천은 결국 모든 사회적, 개인적 문제를 해결하는 출발점이라고 볼 수 있어 시대를 넘어 가치 있는 철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성의 실천'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책은 존양, 성찰, 치지, 역행이라는 네 가지 공부 덕목을 제시한다. 이는 현대적으로도 해석 가능해서 더욱 와닿았다. 예를 들어, 존양은 타인과 본인을 존중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자기계발이나 독서, 멘토링을 통해 실천해볼 수 있다. 성찰은 자신의 행동과 마음을 돌아보고 개선해 나가는 과정으로, 명상, 마음챙김, 글쓰기 같은 현대적인 방법들이 딱 어울릴 것이다. 치지는 정보의 바다 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인데, 이는 질문과 요약 능력이 중요한 오늘날 인공지능 시대와 잘 맞닿아 있다. 마지막으로 역행은 실천하는 힘이다. 아무리 좋은 배움을 얻어도 행동이 뒤따르지 않으면 그 가르침이 소용없다. 배운 것을 삶에 적용해 실천하는 작은 다짐 하나만으로도 선조들의 가르침을 현대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선조들은 학습과 삶, 그리고 대인관계를 분리하지 않았다. 가방끈이 길어져도 사회적 책임감은 낮아지는 오늘날, 선조들이 보여준 삶과 배움의 자세는 잊혀서는 안 될 중요한 가치다. 특히 모든 변화를 '나'로부터 시작한다는 책임의식과 자기 도야의 자세는 지금 시대에도 우리에게 꼭 필요한 자산이란 생각이 든다. 이 책은 바로 그런 가르침을 되살릴 통찰을 건네준다. 시대를 초월해 삶의 본질을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