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는
박현욱 지음 / 문학동네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방의 매커한 연기 속에서 버거운 현실과 비루한 나를 잠시나마 망각하고 싶은 때가 있다. 답답한 현실에서 환상으로 도피하고 싶은 때가 있다. 날품팔이 인생들이 유전하는 만화방마저도 상업화의 바람 속에서 대부분 현대화되었다. 노곤한 인생살이를 쉬어가던 아니 마지막 자존심을 부여잡고 버티던 이들이 대화를 나누던 만화방의 헛꿈들은 이제 매끄러운 상품의 외양을 갖추고 있다.
대중예술과 고급예술의 거짓 대립 속에서 대중소설의 역량을 차마 눈뜨고 보기 어려운 지경이다. 희대의 히트를 친 대중소설들은 기초적 형식과 양심마저도 갖추지 못한 짜깁기의 남루함을 벗어나지 못한 실정이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저자의 글은 대중소설의 가능성을 보여주기에 모자람이 없다. 뭔가 세상에 대해 이야기하는 듯 하지만 잔뜩 폼만 잡는 이들의 허랑한 위세를 뻔뻔스레 까발린다. 천박함에 대한 솔직함의 미덕. 저자의 강점이다.
미학적 권위주의에 휘둘려 비루한 언저리 인생들의 지리한 일상에 관심이 없는 이들에게 저자는 할 말이 있을 것이다. 니들이 폼생폼사 어떻게 말해두 쫀쫀하고 야비한 3류인생들이란 이렇게 살아가고 있지 않느냐구? 아뿔사! 그런데 안타깝게도 저자는 그런 말을 할 권리를 스스로 닫아걸고 말았다. 한없이 가볍게 살아가려는 저자의 노력은 근엄한 영웅주의에 가려지고 만다. 허접한 형식으로 반영웅주의의 일상을 그려내는 듯 보이지만 실상은 뭐 해두 천재인 잘난 척만 가득하다. 뭐, 천재의 동기가 가당치도 않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기는 하다.
그런데 카프카의 성두 읽고 다양한 고전을 섭렵한 놈이 어떻게 이토록 성장하지 않을 수 있을까? 지옥의 한철을 보낸 주인공은 교육에서 아무것도 전유하지 못한다. 상처와 학대 속에서 힘겨워하든 가족을 통해서도 주인공은 성장하지 않는다. 조울증의 보호고치에 갇힌 고독한 영웅은 스스로의 말처럼 소통할 줄 모르는 바보, 천지이다. 친구와 세상과의 만남에서 성장하지 않는 독특한 바보천재는 시대와 삶의 풍경들과 어울리지 못한다. 흔한 상투적 영웅주의의 대중문화적 반복을 벗어나지 못한 채 가족과도 친구와의 우정에서도, 여자친구와의 사랑에서도 강박적 우울증에서 부유한다.
재미없는 이야기를 재미있게 직조하는 솜씨는 유쾌한 탈주를 그려내는데 쓰이지 않는다. 암기교육, 계급투쟁의 용광로, 도시락과 신발, 가장의 구별짓기 등으로 첨철된 우울한 교육환경과 산업재해와 사기로 건실한 가정에서 폭력 가장으로, 착한 것이 아니라 못난 아버지, 행상하는 어머니 등의 힘겨운 가족 환경은 주인공으로부터 튕겨나간다. 주인공을 관통하고 육체와 정신에 스며들지 않고 망망대해를 떠돈다.
심각한 고통과 아픔을 웃어넘기는 지혜를 찾아가기에 저자는 겁쟁이다. 두려움과 맞서는 ‘용기’는 어설픈 치기로는 어림도 없는 법이다. 어설픈 치기가 버려내는 시대의 아픔, 상처의 진실이란 허망하기 그지없다. 세상의 모순과 부조리에 대한 가슴시린 이야기를 유쾌하게 풀어내는 솜씨가 그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