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혁명가 붓다 - 붓다의 시선으로, 그의 삶으로
법륜 지음 / 정토출판 / 2025년 4월
평점 :
혁명가 붓다를 읽고
지난 4월,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불교 관련 책을 전시한 코너에서 법륜스님의 혁명가 붓다를 넘겨보고 이 책을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종교에서 특정한 한 대상이나 인물을 흔히 숭배하고 그를 대상으로 복을 비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은 부처님, 예수님, 알라신 등등을 찾아 나 잘되게, 내가 원하는 것을 꼭 그렇게 이뤄지게 해달라고 빈다. 하지만 나는 궁금했다. 과연 오늘날 종교에서 신성화가 된 실존 인물들 그 자신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바랐는지 말이다.
법륜 스님의 혁명가 붓다는 ‘정신적인 혁명’을 이룬 한 인간, 한 인격으로서의 붓다를 다룬 책이다. 이 책을 통해 평소 궁금했던 것들이 많이 해결됐고 신격화된 신앙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우리처럼 몸의 통증으로 아파하기도 하고 먹고 마시며 살았던 우리와 같은 한 인물을 만날 수 있었다.
불교만이 갖는 중요한 특징은 무엇일까?
법륜 스님에 따르면 “치우침이 없는 중도와 세계의 실상인 연기법, 이 두 가지”가 “불교만이 갖는 유일한 특징으로 고타마 붓다에 의해 처음으로 세상에 설해진 사물을 보는 관점”이라고 한다. 그리고 세상이 삼라만상이 서로 연기(緣起)적으로 인과관계와 상호의존성을 가지며 그런 이치에 따른다면 많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말에 나 개인적인 문제나 세상의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을 달리해보기로 마음 먹게 되었다. 어쩌면 연결이 끊어진 분리 상태가 존재의 본질이 아니고 찰나적인 한 양태의 불과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붓다께서 설하신 ‘중도(중도(中道)의 의미가 가운데, 혹은 적정한 길을 따르라는 의미로만 생각했었는데, 양극단을 놓아 버리는 “제 3의 길”인 “중도는 ’중간‘이라는 뜻이 아니라 ’해탈로 가는 바른길‘을 의미한다고 한다.
우리의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나는 사람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란다. 그런 생각을 가지고 나의 가족, 친구, 주변 사람들에게 그들이 행복하려면 내가 어떻게 하거나 무엇을 주어야 할까 고민해보기도 하지만 그들에게 내가 행복을 줄 수 없는 것 같아서 무력감을 느끼기도 한다. 내가 만일 그들에게 값비싼 음식을 대접하고 호화로운 여행을 시켜준다면 그들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일까? 그것이 그들에게 진정한 행복이 될 수 있는지를 따지려면 행복한 상태가 어떠한 정신 상태인지 먼저 따져봐야 할 것 같다.
법륜 스님은 ”불교의 가르침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목표“ 인 ”해탈과 열반“을 ”쉬운 말로“ ”지속 가능한 행복이라고 말하고 싶“다고 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행복은 불행으로 바뀌는 행복“이고 ”지속 가능한 행복은 괴로움이 없는 상태“라고 한다. 만일 어떤 물질적 혹은 보상적인 선물로 그들에게 행복을 줄 수 없다면 진정한 행복은 그들 각자가 스스로 내면에서 발견하고 성취해낼 수 있는 그런 성질일 것이다. 그래서 아마 붓다가 괴로움이 소멸된 상태를 깨닫고 그 법을 설하기 위해서 다른 것은 버렸던 것이 아닐까. 그가 사람과 세상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것을 주기 위해서 깨달은 이후 온 힘을 다해 살았다는 것은 놀랍기도 하고 존경스럽기도 하다.
자비로움과 편안한 마음
나는 종종 마음이 들뜨고 산란해지는 걸 관찰하며 때로는 그런 들뜸에 딸려가기도 한다. 어려서부터 나의 불행이나 괴로움을 일으키는 다른 외부의 대상이 있다고 생각하던 습(習)대로 ’너 때문‘이라는 생각을 자주하기도 한다. 하지만 ”수행자는 그 어떤 상황에 처해도 마음에 두려움과 불안이 없고 괴로움이 없어야“ 한다고 한다. 나의 마음을 살펴보면 때때로 두려움, 불안, 괴로움이 나타난다. 그럴 적에 나는 무엇이 두려운가? 왜 불안한가? 왜 괴로운 것일까?
붓다는 깨달은 이후 ”다섯 친구와 같이 초저녁에 명상을 하고 한밤에는 명상을 풀고 편안한 마음으로 있었“다고 한다. 그 편안한 마음과 그런 상태의 모습, 존재감, 아우라가 아스라이 그려진다. 미소를 짓는 것도 미소를 짓지 않는 것도 아닌 그런 표정일 것이다. 그리고 나도 그런 편안한 마음을 성취하고 싶다. 당장 일상에서 집안을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는 가족에게도 화가 나고 언짢은 마음이 드는데, 어떤 외부적인 조건과 상황 속에서도 자비로운 마음을 갖고 싶다.
붓다에게 법을 청하는 많은 사람들의 일화를 보면, 그는 사람들에게 화를 내거나 따지거나 하지 않고 언제나 자비로운 마음으로 친절하게 대했던 것 같다. 앞서 내가 다른 이들의 행복을 빌며 진정으로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일지 고민할 수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법으로 친절, 미소, 공손, 성실함 같은 것들이 있었는데 붓다는 누구에게나 그런 상태였을 것이다. 그를 멀리서 보기만 해도 존재감으로도 그 당시 사람들이 감화되었다니 놀랍고 나도 그 모습을 먼 발치에서나마 경험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고 자비하려면 나 자신의 내면이 편안해야 할 것이고, 그것을 이룩하려면 괴로움이 없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그 길로 누구든 갈 수 있고 성취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하니 붓다는 그야말로 인류의 ”정신적 혁명가“라는 법륜 스님의 말이 참 멋지게 들린다.
키워드: 행복, 괴로움, 고통, 괴로움의 소멸, 연기법, 중도, 원인과 결과, 원인과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