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천추범 - 1896년 민영환의 세계일주
민영환 지음, 조재곤 옮김 / 책과함께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해천추범>은 민영환이 1896년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 대관식에 다녀오면서 남긴 일종의 기행문 혹은 일기라고 할 수 있다. 조선에서 떠나기 전부터 시작하여 대관식에 참석한 이후 시베리아 지역을 횡단하여 다시 조선 땅을 밟게 되기까지 매일의 여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만큼 1896년 당시 세계 각 국을 돌아다닌 민영환의 인식을 살펴보기에 좋은 자료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의 경우  근대사를 전공하고 있는 조재곤 선생이 단순히 민영환이 남긴 <해천추범> 원문의 번역 뿐만 아니라 그와 동행하였던 김득련과 윤치호가 남긴 기록까지 덧붙여서 활용함으로써 1896년 러시아 황제 대관식을 둘러싼 주변 분위기까지도 잘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솔직히 민영환이 남긴 기록만으로는 고종이 러시아 황제의 대관식에 굳이 사절단을 파견한 이유나 배경을 잘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윤치호가 남긴 이 당시의 일기 기록을 통해서 보완하고 있는 것이다. 김득련이 남긴 한시의 경우 한학을 기본적인 소양으로 가지고 있었던 조선 지식인이 새로이 접하게 된 세계의 각 국 문물과 정황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비유를 하여 그려냈는지를 잘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이들 사절단이 각 국을 들르는 동안 어떻게 세계를 인식하였는가를 잘 보여준다.

 이 책에서는 민영환이 중심이기 때문에 그의 세계 외유 경험을 상당히 강조하고 의의를 부여하고 있음이 곳곳에서 눈에 띤다. 하지만 조선인으로서 세계 각 국을 돌아다녔던 경험의 시작은 비단 민영환으로부터 비롯된 것은 결코 아니다. 민영환이 일본, 아메리카 대륙, 유럽 지역을 순방하기에 앞서 10여년 전에 민영익도 세계 각 국을 외유한 이후 조선에 귀국하였던 경험(미국으로 보빙사 파견 이후 유럽지역을 경유한 귀국)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민영익의 경우에는 그 경험과 갑신정변 등의 정치적 사건을 계기로 하여 오히려 정치적으로 보수화된 인물이기 때문에 민영환의 세계 외유 경험과 같은 선상에서 놓고 비교하기는 어렵다. 그래도 민영익에 비해서 민영환은 세계 각 국을 외유한 경험을 꼼꼼하게 일자별로 남겨 놓았기 때문에 그가 경험하고 인식할 수 있었던 것들을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해 볼 수 있는 만큼 "기록"으로서 참고할 가치는 높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책에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과 관련하여 조선 측이 러시아 측 관리들과 접촉하고 요구하였던 사항들에 대해서 윤치호의 기록을 통해서 언급하고 있기는 하다. 그렇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민영환이 남긴 "해천추범"의 기록만 따라가다보면 그가 경험한 내에서의 사실관계만이 일자별로 나열된 편이라서 이를 둘러싼 전체적인 상이 잘 보이지는 않는다. 민영환이 사절로 가면서 금전적인 측면은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이러한 조선 측의 움직임에 대해서 일본 정부는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하였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더라면 좋지 않았을까(물론 이홍장과의 대화를 통해서 아관파천 이후 청국이 조선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는 간략하게나마 드러난다)란 생각이 든다. 대관식이 진행되는 동안 러시아와 일본 사이에 조선을 두고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를 체결하였던 사실이 전혀 언급되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물론 이러한 부분은 전문 연구의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이기도 하지만 조선 측이 러시아에 사절을 파견하던 당시의 국제 정세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었는가도 한 번쯤은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인 만큼 연표식으로라도 간단하게 정리를 해주었더라면 참고해 보기에 더 좋았을 거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