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빠는 풍각쟁이야 - 대중 가요로 본 근대의 풍경
장유정 지음 / 민음인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1920년대에서 1940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 대중적으로 많이 애창되었던 여러 종류의 가요(신민요, 만요, 트로트, 재즈송 등)에 대해서 가사의 내용과 시대상을 중심으로 어떠한 맥락에서 불리워졌는가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이 시기의 노래들에 있어서 일본풍의 영향을 받은 것도 사실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영향을 피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여 "왜색"이 창연했던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 당시 작곡이나 작사에 많은 한국인들이 참여를 하면서 예전에 대중들로부터 사랑을 받았던 민요라든지 판소리 등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밝혀내면서 그러한 것들을 새로운 형식 속에 녹여내면서 독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음을 짚어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식민지 시기의 대중가요가 단순하게 암울한 시대상만을 반영하고 있다거나 일본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식의 관점을 지양하고 넘어설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물론 중일전쟁이 발발한 1937년 이후로는 대중가요도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부터 마냥 자유롭지만은 못하기 때문에 그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고, 위축되었음도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일제에 의해 "어용"으로 제작되어 홍보 수단으로 쓰인 노래가 대중들로부터 그렇게까지 환영받으면서 수용되었던 것은 아님을 지적하고 있다. 이는 대중가요가 전시라는 특수한 조건 하에서도 통제를 받으면서도 마냥 국가권력의 취향대로만 흘러간 것은 아니라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는 것인데, 분명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 물론 1930년대 말부터는 전쟁이 본격화되고 일본이 주창한 대동아공영권의 논리가 절정을 향해 치닫고, 일본에 의해서 수행되고 있던 전쟁에 대한 미화와 찬양이 본격화된 시기인 만큼 이 시기와 맞물려 있는 대중가요를 논의함에 있어서는 좀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 많이 언급되어 있는 내용이기는 하지만 그 당시 유행하고 있던 대중가요에 대해서 지식인들이 논평을 하고 있는 내용의 맥락을 살펴보면 오늘날의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에 대한 논쟁과 별반 차이가 없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 당시의 글을 오늘날의 상황에 적용시켜 생각해 보아도 문제의식에는 하등의 차이가 없다는 소리이다. 역시 사람이 살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바는 어느 시대가 되던지 간에 비슷한 점이 많기 때문이리라.

  많은 이들이 즐겨부르는 대중가요 속에는 그 시대의 정서가 고스란히 녹아있기 마련이므로 함부로 그 가치를 낮추고 무시해야 할 하등의 이유는 없으며, 오히려 이를 잘 활용하면 그 시대의 상을 조합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음을 저자는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확실히 배워야 할 점이 아닐까 싶다. 대중가요의 경우 너무나도 깊숙히 일상 속에 침투해 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소홀히 하고 그것이 내포하는 가치 혹은 의의를 몰랐던 것은 아닌가에 대해서 반문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대중으로부터 꾸준히 사랑을 받으면서도 꾸준히 대중들의 요구나 시대의 정서에 맞게끔 변화를 거듭해 가는 대중가요는 분명 흥미로운 존재이자 주제인만큼 관심을 갖다보면 분명 그로부터 생각 이상으로 많은 것을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