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 일본인들 - 한국 현대사에 그들은 무엇이었나
다테노 아키라 편저, 이정환.오정환 옮김 / 한길사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식민지 시기를 거친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일본 그리고 일본인들을 생각함에 있어서는 식민지의 역사적 경험과 기억 그리고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빈번하게 터져나온 일본 정치인들의 극우적 발언, 역사 교과서 왜곡 등으로 인하여 일본에 대하여 긍정적 인상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게 사실일 것이다. 식민지 지배를 받았던 역사적 피해자의 입장과 과거에 대해서 진심으로 반성이나 사죄를 하지 않은 채 우경화에 가속을 하고 있는 가해자의 입장이 서로 중첩되는 가운데 서로에 대한 인식이 선악과 흑백의 단순한 구분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게 아직까지는 엄연히 현실을 규정짓고 그 기저를 흐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때 그 일본인들>은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조선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되었던 일본인 72명에 대해서 각 인물별로 간략하게 그들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어떻게 그네들이 조선을 연관지어 자신들의 삶을 영위해 갔는가에 대하여 그려내고 있다. 72명이나 되는 일본인 개개인의 삶은 그 자체만으로도 다채롭지만 그 면면을 읽어나가다 보면 그네들의 삶이나 지향점이 물론 시대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한계를 가졌다는 점(청일전쟁과 러일전쟁 사이에 끼어 있는 조선을 바라보는 관점의 불일치가 대표적인 예)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같은 시기를 살았다고 해서 모두 같은 가치관과 지향점을 가지고 살았던 것은 아니라는 점도 알 수 있다. 조선에 대하여 정한론을 주창하고 뿌리깊은 멸시관을 드러내면서 그네들의 식민지화를 합리화한 인물들(사이고 다카모리, 후쿠자와 유키치, 요시다 쇼인, 이토 히로부미, 후쿠다 도쿠죠 등)도 있었는가 하면, 식민지로 전락한 조선과 조선인들에 대해서 그네들의 입장을 이해하려 하고 자신들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대세(식민지 통치)와 동화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던 일본인들(후세 다쓰지, 하타다 다카시, 다우치 지즈코, 마쓰이 요시코, 마쓰이 야요리 등)도 있었던 것이다. 이는 식민지로 전락한 조선에 대해서 일본인 내부에서도 보는 관점과 접근법이 다양하고도 상이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 당시를 살던 일본인들에게 천편일률적으로 편파적인 이미지를 덧씌워서 해석을 해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아직까지도 청산하지 못한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가 한국과 일본 양국 사이에 길게 드리워져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주목해야 할 점은 서로 간에 입장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그 와중에도 상대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감싸안으려 했던 이들(위에서 언급한 후자의 경우)도 적지는 않았으며, 그네들의 행적(이는 학자의 연구성과, 문학이나 예술작품을 통한 형상화, 적극적인 현장활동 등)을 쉽게 망각한 채 일방적으로 비난 혹은 매도를 해서만은 아니된다는 점이 아닐까 한다. 물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일단은 알아야 하는 법이다. 모르면 모르는 만큼 일도양단식으로 역사나 현상을 단순화시키고 편파적으로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이 책의 집필자로 들어가 있는 다카사키 소지가 지은 <식민지조선의 일본인들>(역사비평사, 2006)의 경우에는 이보다는 연구서의 성격이 강하기는 하지만 같이 읽으면 서로 보완되는 부분(개항기부터 식민지 시기에 이르기까지 조선에 드나들었던 일본인들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이 많을거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