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마을 헤이온와이
리처드 부스 지음, 이은선 옮김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영국의 웨일즈 지방의 헤이란 지역에 헌책방 마을을 기초한 리처드 부스가 자신의 경험담을 담긴 책이다. 솔직히 다른 나라의 사정인지라 그리 와닿거나 하진 않았지만 저자의 헌책에 대한 열정은 담뿍 느낄 수 있는 책이 아니었나 싶다.  물론 그 열정이라는 것은 저자가 특정 분야의 책을 좋아하는데서 비롯된 각종 사연을 소개한다기보다는 여러 분야의 책들을 가리지 않고 수집하여 싼 값에 공급하는 가운데 벌어진 일들을 정리한 만큼 어디까지나 공급과 수요의 교차점에 있는 헌책방업자 본연의 임무에 충실한 이야기가 아닌가란 생각이 들었다. 책을 집어들면서 짐작했던 내용과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기에 조금 낯설기도 했지만 자신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을 넘어서서 다른 국가, 다른 지역에도 비슷한 종류의 헌책방마을이 들어설 수 있도록 많은 영향을 끼쳤다는 점(솔직히 어느 누가 헌책방을 중심으로 한 마을을 꾸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해 보았겠는가?)에서 생각해볼 여지를 많이 남기는 책이다.

책을 읽어 나가면서 문득 우리나라에서도 헌책방을 운영하고 있는 많은 분들 중에서 이런 식으로 자신의 헌책방 운영 인생과 경험 그리고 철학을 기록으로 남겨놓은 사람이 있을까란 생각을 해 보았다.  문득 고 이겸로 옹이 썼던 <통문관 책방비화>란 책과 더불어 우리나라 곳곳에 흩어져있는 헌책방들을 찾아다니면서 자신의 경험담을 에세이로 담아낸 최종규 씨의 <모든 책은 헌 책이다>란 책이 떠올랐다.

<통문관 책방비화>의 경우에는 인사동에서 "통문관"이라는 헌책방을 운영하는 가운데 있었던 일들을 회고 형식으로 정리했기에 구성 자체로 보면 어쩌면 리처드 부스의 이야기가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물론 <통문관 책방비화>의 경우 저자가 통문관을 꾸려가는 가운데 거쳐갔던 수많은 책 가운데서도 귀중한 서적들(흔히 이름만 들으면 바로 알 수 있는 문화재급 서적)의 사연들이 많이 담겨 있기에 저자가 풀어놓는 이야기에 공감하고 새겨둘만한 내용들이 더 많은 건 사실이다.  

최종규 씨가 쓴 책의 경우(2006년도에 신간이 하나 나오기는 했는데, 아직 그 책까지 접해보진 못해서 조금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에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헌책방들을 찾아다니면서 거기서 마주칠 수 있었던 다양한 책과 그에 대한 소감, 그리고 그 와중에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헌책방에 애정을 가지고 자주 찾아다니는 저자의 열정을 통해 수많은 헌책방들의 사연을 접할 수 있고,  저자가 여러 헌책방을 다니면서 쌓아올린, 헌책방을 대하는 마음가짐이나 생각에 대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거기다가 지은이가 우리말로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풀어내는 게 쉽고도 평이하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도 자신이 한글을 쓰면서도 너무 현학적이고 어려운 문투만 남발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에 대해서 반성을 삼아볼 만도 한 책이다.

원래 읽은 책을 통해서 떠올린 책들의 이야기를 적다보니 내용이 조금은 벗어난 감이 있는데,  헌책방을 자주 이용하는 입장으로서 든 생각을 간단하게 정리하면서 글을 마무리해볼까 한다.

점점 책을 읽지 않는 세태 속에서 새 책을 파는 서점도, 헌책을 다루는 헌책방들도 많이 문을 닫고 있는 게 씁쓸한 현실이기는 하다. 그런 와중에도 나름대로의 소신과 철학을 가지고 책방을 근근히 이어나가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데, 역시 그것만으로는 현실의 장벽을 넘기가 쉽지만은 않은 편이다. 책을 가까이할 수 있는 문화적 토양이 척박하다는 게 문제의 가장 근간이 아닐까 싶다. 초, 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가정에서 굳이 책을 사지 않더라도 일단 들러서 일반 서점이나 헌책방에 어떤 책이 나와서 유통되고 있는가에 대해서 둘러보면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정도라도 그 계기를 만들어줄 수 있으면 어떨까란 생각도 해 보았지만 잘 모르겠다.

접할 수 있는 계기나 기회만이라도 충분히 조성되어 있다면 거기에서 뻗어나갈 수 있는 활용의 가능성은 다양하겠지만 당장 먹고 살기 바쁘다는 이유만으로, 그리고 시험에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등의 현실적인 이유로 배제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 헌책방에서 학생들이 들른다고 하더라도 찾는 게 자신이 필요로 하는 교과서나 학습서 그리고 사전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은 현 세태가 헌책방에도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게 아닐까? 

조금만 눈을 돌려서 책방 전체를 찬찬히 둘러보면 다양한 종류의 책들이 서가 한 켠 한 켠을 차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고, 그것들을 둘러보는 가운데 자신의 취향과 맞아떨어지는 책을 만날 수 있는건데, 많은 이들에게는 그렇게 할 수 있는 자그만한 여유조차 없는 것인지... 그런 여유조차 없는 환경이라면 부스가 이루어냈던, 헌책방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마을을 꿈꾸기는 더더욱 어려운 일이 아닐까?

마지막으로 리처드 부스는 현재 많은 이들이 책을 읽지 않고, 인터넷과 같은 매체에 의존하는 세태를 "인터넷이나 컴퓨터는 정보체계 면에서 책의 경쟁상대가 못 된다. 정보의 단순한 습득이 아닌 이해가 인생의 주요 과제이기 때문이다. (399쪽)"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책을 찾아서 보는 이유 중의 하나로 자신과 타인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들고 있는데, 맞는 말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