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의 품위 - 진짜 어른이 되기 위해 지켜야 할 삶의 태도
최서영 지음 / 북로망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북로망스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어렸을 때 생각한 '어른이 된 내 모습'은

굉장히 단단하면서도 멋지고

흔들림이 없는 능수능란한 모습이었다.

막상 나이를 먹으며 '어른'이라는 범주에 들고나니

'정말 이런 나를 어른이라고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곤 했다.


"내가 살면서 제일 황당한 것은 어른이 되었다는 느낌을 가진 적이 없다는 것이다. 결혼하고 직업을 갖고 애를 낳아 키우면서도, 옛날 보았던 어른들처럼 내가 우람하지도 단단하지도 못하고 늘 허약할 뿐이었다. 그러다 갑자기 늙어버렸다. 준비만 하다가. - 황현산 @septuor1 트위터 中 -"


황현산 선생님의 트위터 글에서도

비슷한 결의 글이 있었는데,

우리가 늘 곧은 어른이라고 생각했던

선생님마저 '어른이 되었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고 하니,

'어른'의 경지라는 것은 과연 무엇인지

물음표가 짙어지는 요즈음이다.


어떤 어른이 되고 싶다거나,

어떤 어른이 되어야겠다거나

그런 다짐들이 무색하게

흐르듯 자연스럽게 어른이 되어버렸다.

'어린이 아니고 어른이'라는 웃픈 표현만큼

아직 다 자라지 못한 아이가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 같은 느낌으로

어른의 삶을 사는 것 같은 오늘날의 우리들.


나이만 어른이 아니라

진짜 어른이 되려면 어떻게 해아 하는지,

진짜 어른의 모습은 무엇인지 궁금한 이들에게

너그러운 어른의 품위를 알려주는 책을 만났다.

〈잘될 수밖에 없는 너에게〉를 쓴

최서영 작가의 신작 〈어른의 품위〉이다.


아나운서로 또 크리에이터로

사람들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전하는 작가는

첫 저서를 통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고,

첫 책의 출간 이후 독자들에게 받았던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걸까요?"라는 질문 앞에서

순간의 행복을 미루지 않고 살아가는 태도에 대해서

글을 쓰며 두 번째 책인 이 책을 완성하였다.


자신이 생각해온 좋은 어른의 모습을 그리며

그들의 모습과 그들에게서 배웠던 것들을

차분히 정리한 이 책은

독자들이 건넨 질문에 대한 답이자,

인생을 걸어가는 방향을 비추는 불빛으로

다가갈 수 있을 것 같다.


각기 다른 모습을 가진 사람들의 모습에서

저자는 '품위'라는 개념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겉으로 보이는 모습이나 장식이 아니라,

마음가짐이나 말투, 태도, 자세, 신념 등

생각에서 자연스럽게 배어 나오는 '품위'가

진짜 어른을 만든다는 것을 깨닫고

나이만 든 어른이 아닌 '진짜 어른'이 되기 위해서

우리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태도를 나눔으로써

자신을 살피는 너그러운 사람이 되기를 권하고 있다.


책 속에서 가장 강하게 전해진 메시지는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는 것이다.

타인에게 비치는 겉모습에 치중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며 솔직하게 드러내는 사람은

자연스럽게 자신만의 태도나 분위기가 생기고,

그런 자세는 그 자체로 '품위'가 된다는 것!


요즘은 특히나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쓰고

겉으로 보이는 모습에만 치중하는 이들이 많은데,

자신의 모습을 인정하는 것에서

진정한 '자유'를 얻게 되고,

그런 자신을 살피고 사랑하면서부터

행복에 이를 수 있다는 얘기는

우리가 그동안 오해해왔던 삶의 태도를

바꿀 수 있도록 해줬다.


행복이나 품위는 어떤 목표나 정형화된 것이 아니라,

'나다움'을 찾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는 걸

항시 염두에 두고, 나를 살피고

타인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그런 진짜 어른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어렵게만 생각했던 어른의 모습,

어쩌면 자연스럽게 나이를 들며

자신을 바라보면서 이르게 되는 경지는

가까이에 두고 멀리 찾아 헤맸던

파랑새처럼 우리 누구나 가닿을 수 있다.


누구나 나이를 먹어 도달하는 어른이 아닌

진짜 어른이 되기 위해 가져야 할 우리의 태도!

오늘부터 하나씩 연습해 나가면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