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는 늘 어딘가가 아프다 - 컨디션 난조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이 건강해지는 법
야마자키 아쓰코.도리이 린코 지음, 원선미 옮김 / 마인드빌딩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마인드빌딩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언젠가부터인지 신체에 나타나는 변화들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시작했다.

열이 나거나 까지고 다치는 등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상처'나 '증상'은

누구나 느끼는 보편적인 변화겠지만

이런 보편적인 변화에 대한 반응이라기보다는

여자로 태어나 2차 성징을 겪으면서

'월경, 생리'라 부르는 대자연의 현상 앞에

그것과 관련된 '호르몬'의 영향은

생리 기간이라 불리는 일주일 남짓을 넘어

PMS라 불리는 생리전 증후군,

생리 후에 나타나는 배란기 등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신체 변화를 비롯해 두통이나 피로함,

짜증이 난다거나 불면증, 현기증,

손발 저림을 비롯해 피부 가려움까지

다양한 부정수소들을 느끼며

"여자들은 왜 이렇게 맨날 아픈 거지?"

라는 자조 섞인 웃음을 짓게 했다.


컨디션이 좋은 날보다 그렇지 않은 날이 많다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해야 하는

다양한 역할들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신체적인 피로함은 사소하게는 컨디션 저하로

그러려니 하며 넘기기도 하지만

어떤 날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만한

큰 어려움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무어라 정의 내릴 수 없는 이런 '여성들의 아픔'에 대해

자율신경실조증과 갱년기라는 키워드에 맞춰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생활습관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책을 만났다.

전체에서 1%도 되지 않는다는 여성 침구사로

28년간 활동하며 7만 명의 환자를 봐 온 저자가 쓴

〈여자는 늘 어딘가가 아프다〉이다.


운동선수 출신으로 부상으로 인해 운동을 그만두고

교사를 하다가 스포츠 트레이너 일을 하게 된 작가는

자율신경실조증으로 고민하는

여성이 많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여성에게는 여성의 몸에 대해 잘 아는

여성 침구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침구원을 열고

그 뒤로 28년간 많은 환자들을 돌보게 되었는데,

여성과 남성은 낫는 방법 하나도 다르구나라는

생각과 함께, 여성으로서 산다는 게 쉽지 않다는

사회적 현실까지 더해지며 제대로 이해받지 못하는

여성들을 위한 책을 내고 싶다는 방향에 이른다.


자율신경실조증으로 고민하는 여성들,

그리고 그중에서도 갱년기를 맞이한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여러 현상들과 함께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생활습관과

마음가짐에 대해서 전할 뿐 아니라,

실제 만나봤던 환자들의 사례를 통해

독자들의 이해와 공감을 이끌고 있다.


신체에 대한 변화를 캐치하기 시작한 것도

어느 정도 나이가 차면서부터이다.

이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컨디션 저하도

나이가 들면서 더욱 그 체감이 커지게 되었고,

특히나 호르몬의 영향을 많이 받는 여성들은

40년 가까이하는 생리가 끝날 무렵에는

더욱 그 변화가 도드라진다고 하니,

앞으로 다가올 시간을 위해서도

이러한 여성들의 몸을 이해하고 어떤 생활습관을

가져가야 할지 배워가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렇다 하게 진단받은 병명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정수소를 겪는 사람들,

이런 자율신경실조증으로 인한 몸의 컨디션 난조의

원인이 무엇인지 깨달음을 얻고,

그로 인해 몸과 마음의 상태가 좋아짐으로써

자기 자신을 찾고, 자신의 길을 걸어갈 수 있도록 하는

작가의 마음은 한 명의 '여성'으로서

깊이 공감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이 인상 깊었던 이유는 신체적으로 느끼는 증상을

'심리적'인 부분에서 원인을 찾고자 했기 때문이다.

흔히 몸에 나타나는 증상을 '외적인' 부분에서

찾기 마련인데, 근본적인 심리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몸과 마음을 모두 개선하고자 함은

신선하기도 하고, 미처 들여다보지 못했던

나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느낌이라서

무엇보다도 위로가 되는 기분이었다.


'여자는 늘 아프지 뭐' 하며 그러려니 하며

참고 넘기던 많은 것들이 쌓이고 쌓여

나에게 이런 신체적인 변화를 느낄 수 있게 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조금 더 '나'를 생각해야겠다는

다짐까지 하게 됐다.


너무 섬세하거나 타인을 배려하는 사람들에게서

도드라지게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

혹은 미처 알지 못한 채 행하던 나의 습관들이

내 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게 되면서

보다 나를 살필 수 있는 루틴으로 변화시키고,

그를 통해 변화하는 스스로를 체감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를 들여다본 것처럼 어쩜 이렇게 잘 알고 있지?'

라는 생각이 들 만큼 많은 여성들이 공감할 만한

포인트들이 많았던 책.

왜 이렇게 여자들은 늘 아프지? 하며 그마저도 익숙한

현상으로 인식을 했다면, 이 책을 통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마음을 들여다보고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