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어린 어둠
조승리 지음 / 다산책방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애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장애에 대한 많은 편견을 가진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조승리 작가에 대한 나의 시선도 그러했다.

'시각 장애를 가진 작가는 어떻게 책을 쓸까?

그리고 여전히 책을 읽는다는 표현이 신선하네'

라는 식으로 말이다.


〈이 지랄맞음이 쌓여 축제가 되겠지〉라는 첫 작품은,

후천적 장애로 전맹이 된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로

조승리라는 이름을 많은 독자들에게 알렸다.


장애, 그것도 후천적 장애를 가지게 된 작가의

혼란스러움을 고스란히 전하면서도

자신의 이 '불행'을 끌어안고 주저앉기보다

'지랄맞음을 축제'로 승화시키는 단단한 마음에

누군가는 잃은 그 일상을 모두 다 가진 내가

너무 불평불만이나 간절함을 잃고 사는 건 아닌가

하는 반성을 하기도 했다.


두 권의 에세이를 통해 시각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장애인으로서 마주한 세상의 이야기는

그들의 삶에 대해 막연하게 이럴 것이라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바꿔주었다.


이번에 만난 작가의 첫 소설은

4개의 단편으로 구성된 연작소설로

시력을 잃고 장애인이 되기까지,

그리고 그 이후 삶에 대한 자전적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각 이야기는 서로 다른 주인공의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소설들을 통해 들려주는 이야기는

결국 모두 '조승리'로 이어진다.


이야기 속의 주인공들은 모두 '조승리'들이었고,

결국은 시력을 잃게 되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내 이 상실을 받아들이며

성장하는 한 인물의 분투기를 통해

장애를 가진 이들의 연대와

그리고 그들의 목소리를 기꺼이 대신해 내고자 한

작가의 의지까지 강하게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점점 사라지는 시력은

주인공들에게 어둠만을 선사하지 않는다.

사라진 빛만큼이나 놓아야 했던 많은 관계들,

나라는 존재의 가치가 달라지며 방황하는 시간은

사라지지 않는 생체기가 되어 쌓여간다.


보이지 않게 된다는 두려움보다도

지금의 소중한 순간들을

다시는 마주할 수 없다는 슬픔은

어린 조승리들이 맞서기에는

너무나 큰 벽처럼 다가온 것이다.


그저 상상만으로도 미루어 짐작할 수 없는 고통들은

소설을 읽는 나를 '조승리'라는 사람으로 만들어

생생하게 체감하게 했다.

턱 막히는 숨은 수시로 페이지를 멈추게 했고

그들과 함께 눈을 감았다 뜨며

보이지 않는 현실을 바라보다 보면

다가오는 어둠이라는 슬픔이 딱 붙어 있었다.


그렇게 매일을 살아내고 매일을 이겨냈을

작가의 일상을 소설을 통해 겪어보며

그 몸부림의 고단함에 가만히 손을 올려 매만진다.

사람들의 온기를 받아 비로소 목소리를 내게 된 작가는

자신의 이야기에 그치지 않고

자신과 같이 장애를 가진 이들의

목소리가 되겠다고 다짐한다.

마음속에 담아낸 울분을 쏟아내고,

두려운 어둠에서 세상 속에서 한 발자국 나아간 그녀가

다른 이들을 위해 손을 내미는 것이다.


이름처럼 기어이 승리를 하고야 말,

그리고 자신과 같은 이들에게

기꺼이 받은 온기를 나누는 그 마음이

모두에게 전달이 되기를,

그들의 고단함이 함께 나누며 줄어들 수 있기를

마음속으로 간절히 바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