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하고 아름다운 할머니가 되고 싶어 - 제12회 브런치북 출판 프로젝트 대상 수상작
김슬기 지음 / 클레이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결코 혼자 살아갈 수 없다.

누군가의 양육, 누군가의 도움, 누군가의 보호 아래

한 사람의 몫을 다할 수 있도록 자라나며

그렇게 자라난 사람들은 받은 그 사랑을

또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면서 함께 살아간다.


이런 아름다운 연대라는 것이

인류가 가장 연약한 신체적 특징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을 보내며 유지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함께 살아간다'는 연대의 힘을 느끼게 해주는

따스한 소설을 만났다.

판타지 같기도 하고, 코미디 같은 가상현실을 담은 

구절초리와 괴력을 담은 할머니들의 이야기가 담긴

<강하고 아름다운 할머니가 되고 싶어>이다.


제12회 브런치북 소설 부문 대상작이기도 한,

이 작품은 역대 최다 응모작을 뚫고 나온

괴력의 소설이라는 평을 받는다.

브런치북 하면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를 주로 떠올리는데

브런치북 대상작 중에서 소설이 있다는 사실에 놀랐고,

그렇게 최다 경쟁을 뚫고 나온 이 소설은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지 너무나 궁금했다.


가족도 없이 쓸쓸하게 배달 일을 하면서 사는 '강하고'

친구들이 부르는 '강호구'라는 별명처럼,

사람이라는 애정이 늘 그리웠던 그녀는

늘 이용당하고 내주면서도 모진 인연은 끊어내지 못하고

애꿎은 자신의 목숨만을 내놓으려고 하다가

삶의 끝, 마지막이라 생각한 순간

슈퍼맨처럼 나타나 자신을 구하려 온

낯선 할머니들을 마주하게 된다.


이곳이 이승인지 저승인지,

내가 살아있는 건지 죽고 있는 과정인 것인지

파악조차 하지 못했던 하고가 도착한 곳은

지도에도 나오지 않고 사람들의 세상과는 동떨어진

구절초리라는 마을이었다.


바다를 품고 있는 이곳에는,

나이가 들수록 더욱 튼튼해지는

근육이 울끈불끈한 할머니들만이 살고 있는데

이곳에서 살았다는 자신의 친모 '김명희'씨의

남겨진 집에서 그녀가 하던 일을 이어받으며

구절초리의 생활에 물들기 시작한다.


이름만 품고 있던 엄마에 대한 그리움,

지칠 대로 지친 삶의 끝에서 나를 건져놓은 할머니들과

구절초리에서의 새로운 일상을 시작하며

하고는 자신이 세상에 존재해야 할 이유와

또 강인한 할머니들의 삶 사이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해내기 시작한다.


구절초리에서의 일상이 익숙해져 갈 무렵,

불청객처럼 찾아온 끊어내지 못한 가족 같은 친구

'정아'의 등장은 잔잔한 호수에 던져진 돌이 내는

파고 같은 느낌을 주었다.


끝난 것 같은 인생을 구해준 구절초리와 할머니들을

이제는 자신의 의지와 힘으로 지켜내고자 하는 하고,

그리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와 구절초리에서 얻은

힘으로 변화를 맞이하기까지의 과정을 담은 이야기는

'함께 산다'는 강인한 연대가 주는

안정감이나 따스함을 가득히 느낄 수 있게 해준다.


《6시 내고향》이나 《생생정보》 같은 프로그램을 보면

한마을에서 함께 사는 노인들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처음에는 노인들만 남은 시골의 평범한 일상에서

전할 수 있는 이야기가 몇이나 있을까? 싶었는데,

방송을 통해 만난 노인들의 모습에는

그 오랜 삶의 다양한 조각들을 통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전하는

인생의 깊은 지혜와 따스한 사랑이 담겨 있었다.


인생의 굴곡 앞에 짙어진 단단한 굳은살은

우리가 가지지 못한 의연함과 여유로움이 있고,

그런 인생의 흐름이 보여주는 모습을 통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배우고,

지친 마음을 위로받으며 힘을 북돋기도 한다.


 구절초리의 할머니들은 핏줄로 연결되지는 않았지만,

그런 따스한 가슴으로 하고를 품어 안는다.

"이런 게 가족이지. 구절초리 거대 가족"이라 하면서.


서로가 서로를 품고 도와주며 구원하는

천국의 천사 같은 존재들,

그리고 맛없는 게 매력인 '이름 없는 차'로 만든

'이름을 딴' 다양한 레시피까지

소설을 통해 구절초리에서의 시간을 함께 보내며

살아낼 수 있는, 다시 일어날 수 있는

가장 큰 에너지를 얻는다.

그리고 '강하고 아름다운 할머니'가 되기를 꿈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