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라는 벽
다이구 겐쇼 지음, 지소연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5월
평점 :

"이 글은 위즈덤하우스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라는 말이 있지만
마음을 다스리기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사람과 사람이 어우러져 사는 인생이라는 파도 위에서
타인과 부딪치게 되는 여러 상황들,
그 속에서 방황하고 흔들리게 하는 것은
다름 아닌 "마음"인데, 아무리 성인이라고 해도
모든 것을 뛰어넘어 "이성적으로" 생각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던진다면 자신이 없을 것이다.
나 역시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런 "감정 문제"들 때문에 많이 힘들어했었고,
겉으로 표를 낼 수는 없지만 타인에 대한
질투나 시샘, 비교를 하며 혼란스럽기도 했다.
마음의 평화를 되찾고 싶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심을 잡고
세상을 바라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었는데
불교, 부처의 말씀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마음속에 세워져 있는 수많은 벽들을 넘어
괴로움의 원인을 타인이 아닌 자신의 내면에서 찾으며
감정의 변화를 분석하며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감정과 마주하는 법을 다룬 책을 만났다.
73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고,
상담 대기자만 2500명이 넘는다는
일본 최고의 카운셀러로 꼽히는
다이소산 후쿠곤지의 주지 스님인
다이구 겐쇼가 지은 〈나라는 벽〉이다.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고민의 순간,
우리는 그 원인을 외부에서부터 찾는다.
나를 이렇게 고민하게 만든 원인을
나 아닌 타인이나, 외부의 문제로부터 찾으며
나를 고민에 빠지게 한 그것의 '책임'을 묻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고민의 순간에 있어서
나를 자유롭지 못하게 하는 것은 사실
외부가 아닌 '나 자신'에게 있다.
오해나 망상, 이기적인 기대나 타인과의 비교 등
마음 깊숙한 곳에 자리 잡은 '벽'들이
이런 고민을 만들어내기 시작하는데,
우리는 문제에 있어서 자신을 들여다보기보다는
문제의 원인을 찾기 위해 바깥만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내가 왜 그런 고민을 하게 되었는가?'라고
스스로에게 하는 질문이 아닌
'내가 이런 고민을 하게 한 사람이 누구인가?'로
타인에게로 시선을 돌리며 답을 찾으려고 하기에
더욱 풀리지 않고, 이런 맹독성 감정들은
나를 더욱 괴롭게 할 뿐이다.
고민 상담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온 다이구 겐쇼 스님은
우리가 가진 감정 문제에
불교의 핵심 개념을 적용했는데
괴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마음을 직시하고,
내면의 마음을 다스림으로써
마음의 평화를 가져오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그런 마음을 다스리기 위한
감정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분노나 슬픔, 질투, 불안 같은 부정적 감정은
사람인 이상 완전히 없애기란 불가능하다.
다이구 스님은 우리들을 괴롭히는 불필요한 감정을
온전히 이해하고 적당히 받아들이고
과감히 내려놓을 줄 알면 지금보다 훨씬 홀가분하고
평온한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보낼 수 있다고 말한다.
이것이 곧 '마음의 벽'을 뛰어넘는 작업이며,
고민을 해결하는 사고방식을 배우고
아주 조금이라도 실천하다 보면
자꾸만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버릇과 사고 습관을
충분히 바꿀 수 있다고 얘기한다.
불교의 사고법을 바탕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말과 표현을 통해
고통을 제대로 마주하고 가뿐히 벗어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었다.
1장에서는 인간 내면의 세 가지 뿌리 감정인
'욕심', '분노', '무지'에 대해 설명하고,
이 감정들이 어떻게 고통의 근원이 되는지를
불교 경전과 함께 풀어낸다.
2장에서는 '분노', '질투' '슬픔' 등
타인과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감정들을 살피며,
감정의 방향을 바꾸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감정의 방향을 바꾸는 방법은 어쩌면
내 마음속에 있는 벽을 낮춰주는 가장 기본적인
스킬과 같다는 생각이 들어 내내 마음에 남았다.
3장에서는 '불안', '조바심', '절망' 등
마음이 현재가 아닌 미래와 과거에 매여 있는 이들에게
체념하고 극복하는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마음의 평온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특히나 다가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불안이 큰 편인
나에게는 가장 인상적이고 도움이 되었던 파트였다.
4장에서는 욕심과 경멸을 넘어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고
객관적으로 자신을 바라볼 수 있게 한다.
타인에 대한 시선과 더불어 평가를 하는 게 익숙한
이들에게 따끔한 충고가 될 것 같다.
마지막 5장에서는 자신의 마음을 더 깊이 이해하고
고민과 괴로움에서 슬기롭게 벗어나는 비결을
담았는데, 그 방법으로써 '명상'을 소개한다.
이처럼 다이구 겐쇼 스님은 우리들이 인생을 살아가며
마주하는 수많은 고민과 괴로움 앞에서
바깥을 향하던 시선을 자신의 내부로 가져오고,
내 마음을 제대로 직시함으로써
근본적인 문제 해결과 마음의 평온함을 가져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뿌리는 불교에 두고, 부처의 말씀을 덧붙였지만
종교를 떠나 '나 자신'에 대해 제대로 알고 싶은 이들에게
많은 울림으로 다가갈 그런 이야기들이 아닌가 싶다.
타인에 대한 시선 그리고 그들을 향한 평가가
익숙한 오늘날의 우리들인데, 그런 감정 자체가
타인과 비교해 스스로 느끼는 우월감에서
비롯되었다는 내용은 속내를 들켰다는 생각에
화끈거리는 감정을 느끼기도 했고,
시작을 알 수 없는 '불안'이라는 감정 앞에서도
이 불안함을 제대로 분석하고 파악하며
나 자신이 만든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배울 수 있었다.
솔직히 처음에 읽기 시작할 때는
'불교 얘기라 지루하지는 않을까?'
'뻔한 마음 찾기 류의 얘기가 아닐까?'라는
편견이 있었는데,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마음의 구석구석을
거울로 비추어 바라보는 것 같아서
속 시원하기도 하고 비로소 해답을 찾은 것 같은 느낌에
한결 마음이 편해졌다.
나를 고통스럽게 하는 이 모든 것은
내 마음에서 비롯됨을 알고,
올바른 마음의 중심을 잡기 위해
내 마음과 마주하며 직시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흔들리지 않는 내면의 기둥을 세우기 위하여,
우리 모두 마음의 주인인 '나'를 제대로 바라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