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옥상에서 기다릴게 ㅣ 넥스트
한세계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5년 5월
평점 :

"이 글은 자이언트북스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사실은 알고 있지만 마주할 자신이 없어
외려 숨겨두었던 마음과 마주했을 때 느끼는
감정의 흔들림은 큰 파장을 남긴다.
특히나 작은 일에도 인생은 흔드는 것 같은
청소년기에는 마주치는 사람 하나
마주치는 사건 하나하나가 마음속에
고스란히 생채기를 남기기도 하는데,
그런 상처들을 들여다보고
내 안의 마음과 마주하며
우리는 비로소 '성장'을 맞이할 수 있게 된다.
전하지 못한 진심,
지켜주지 못했다는 죄책감
각자가 가진 부채감으로 기억하는 한 사람.
고등학생인 주인공들은 마음속에 품고 있는
슬픔이라는 감정을 어찌하지 못한 채 방황하다가
'유서 대필'이라는 부탁을 계기로
자신의 마음을 제대로 바라보는 시간을 갖게 된다.
각자의 기억과 느낌으로 남아있던 일상들을
남겨진 일기장과 맞춰보고 미처 알지 못했던
진심을 바라보면서 자신의 마음과 마주하면서
비로소 상처를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유쾌하고 발랄한 이야기로
누군가에게 웃음이 스며든 하루를 선물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글을 쓴다는 작가는
자신의 첫 번째 작품으로
상처를 가진 채 어두운 터널 속에 갇힌
고등학생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내 안의 마음과 마주하는 시간,
나와 너를 넘어 '우리'라는 세계로 연결되는
이야기를 통해 서로가 서로에게 단단한 힘이
되어주고 치열한 분투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기의 마음을 세밀하게 묘사함으로써
따스한 위로를 전하고 있었다.
이야기는 고등학교에 갓 입학한 새내기 유신이
같은 반 지원에게 '유서 대필'을 의뢰받으면서 시작한다.
유서의 주인공은 다름 아닌 김영원.
유신이 두고두고 잊을 수 없는 그 이름.
그토록 함께 시간을 보냈지만
그에게 쌍둥이 형이 있다는 사실조차 몰랐던
과거의 사고 이후 도망치듯 벗어났던 유신은
끝끝내 알지 못했던 영원의 마음을 들여다보기 위해
대필 조건으로 '영원의 일기장'을 받기로 하고
지원의 유서 대필 의뢰를 받게 된다.
영원의 일기장을 읽으며,
유신은 영원과 만났던 과거의 시간을 회상한다.
늘 친구들에게 인기 많고 밝은 줄만 알았던
영원에게 꼬리표처럼 따라왔던 외로움과
때로는 벅찼던 부모님의 기대, 쌍둥이 형과의 비교,
그리고 유신과 영원이 서로 전지 못했던 진심까지
유신은 영원을 알기 위해 일기장을 펼치지만
오히려 일기를 읽으며
영원을 더 알 수 없다는 생각을 한다.
학교 옥상에서 함께 이야기하며 나눴던 소중한 추억들,
다른 이들 앞에서 내보이진 않았지만
사실은 스스로도 느끼고 있었던 상대에 대한 마음,
그리고 영원이 세상을 떠나게 된
그 사건이 발생하기까지의 이야기 등
유신과 지원은 각자 가진 자신의 부채감을
영원의 일기를 통해 깨닫고
서로에게 상처를 꺼내 보이며
그동안 외면했던 마음과 마주한다.
떠난 영원이 남긴 일기장은
유신과 지원을 새로운 친구로 엮는 매개체이자,
그들이 영원을 넘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마주하게 되는 역할도 한다.
'내가 무얼 해야 할지' '타인과의 갈등' 아래
혼란스러워하는 청소년기의 방황을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통해
'흔들리는 그 마음을 이해하고,
주변의 속도에 관계없이 나만의 속도와 방법으로
자신만의 방향으로 나아가도 된다'라고 작가는
얘기하고 있었다.
아직 미성숙한 청소년 시기에
아이들이 느끼는 감정에 대해서
우리는 지극히 '다 그맘때 면 겪는 일이야'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답답한 마음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채
비뚤어진 반항으로
오히려 관계가 엇나가는 경우도 있고 말이다.
마음속에 가진 자신만의 부채감을 이겨내고
주인공들은 마음속 진심과 마주하며
비로소 성장이라는 길에 이르른다.
충분히 흔들리고 방황한 만큼,
하고 싶은 말들을 모두 쏟아낸 만큼
후련해진 마음은 그들을 비로소 웃게 한다.
몽글몽글하고 아련한 첫사랑의 마음,
흔들리고 방황하며 아파하던 상처까지도
너무나 아름답고 씩씩하게 그려낸 작가만의 세상은
한창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도
또 그 시기를 지나 마음의 굳은살이 생긴 어른들에게도
내 마음을 들여다보고 어루만져 주자며 대화를 건다.
옥상에서 만나 대단한 걸 하지 않아도
서로에게 존재 자체로 힘이 되었던 유신과 영원처럼
이 작품도 읽는 독자들에게 그런 힘이 되지 않을까 싶다.
비로소 자신과 마주하고
자신의 방향을 찾아가는 유신의 성장기도,
마지막까지 자신의 마음에 솔직했던 영원의 단단함도,
미안한 마음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던 지원의 용기까지
하나하나 너무나 소중했던 작품이었다.
옥상 위에서 바라보는 세상은
큰 세상을 작게 만들어 보이며,
내가 직면한 문제 역시 티끌처럼 작은 문제라며
씩씩하게 일어나라고 용기를 주는 것 같다.
모두가 자신만의 옥상을 마주할 수 있기를,
그런 용기를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