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맞은 여자들 - 우리의 잃어버린 감정, 욕망, 행동에 관하여
엘리스 로넌 지음, 정혜윤 옮김 / 북라이프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으로 살아오면서 스스로 혹은

외부에서의 시선과 통제로 인해

불편하거나 포기하는 많은 것들이 있었다.

'여자는 이러저러해야 한다' 라든가

같은 여성이라 하더라도 서로를 향한 평가나 시선에서

'이런 건 좀 그렇지 않아?'라고 하며

정해진 틀 안에서 가두려는 모습들이 말이다.


시대가 변하고 수없이 많은 세대들이 태어나지만

여성들의 모습이나 권리, 그들을 향한 시선과 평가는

그다지 달라지지 않고 있다.

현재를 살아가는 한 명의 여성으로써

나는 어떤 모습으로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한 여성의 딸이자 손녀로

또 앞으로를 살아간 여성을 조카로 둔 이모로

여성들을 가로막고 있는 것들에서 벗어나

잃어버린 감정과 욕망 행동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계기를 주는 책을 만났다.

〈도둑맞은 여자들〉이다.


성별을 떠나 생각이나 본능에 있어서는

누구나 자율성을 가질 수 있기 마련인데

동서양을 막론하고 여성들에 대해서는

편견이라 해야 할지 역사적으로 이어져있다고 해야 할지

유난히 금지되고 검열되는 시선이 있다.


'좋은 사람'으로 평가받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를 얼마나

많은 잣대와 검열로 통제했었는가?

저자는 역사가 금지한 7가지 악에 대하여

통제 당하고 있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룸으로써

근본적으로 거슬러 올라가 잃어버린

우리의 자유를 되찾고자 한다.


한 여성으로 인생을 살아가면서

'대놓고 불평등'이라기 보다

기울어진 운동장을 달리는 기분이 들 때가 있었다.

큰 목소리를 내는 여성들에게는

'드세다'거나 '기를 죽인다'라며

우악스러운 것이 마치 보편적 여성의 가치 추구에서

벗어난다는 잣대가 드리워졌다.


여자는 그것이 무엇이든 밝히면 안 되고

나서거나 완벽하지 않으면 안 되는 존재 같았다.

훌륭한 여성이라 평가받는 이들은

가정과 일에서 모두 완벽한 여성들이었고,

자녀를 양육하는 부부라 하더라도

집안에 소홀한 남편은

'집에 신경을 못 쓸 정도로

중요한 일을 하고 있는 훌륭함'

으로 평가를 받는 반면

일을 하느라 가정이나 육아에 소홀한 여성은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기 위해 욕심을 내는'

으로 평가를 받는 것을 수시로 보기도 했다.


중요한 일에 역할을 다하는 것도

성적인 관계에 있어서 많은 경험을 가진 것도

그저 당연하게 남성에게만 주어지는

현실이니 말이다.


우리는 그동안 잘못되었다는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수많은 시선들의 기준에 대해서 거슬러 올라간다.

여성들에게 주어진 그 기울어진 시선에서

출발한 이야기는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 짓는

어떤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평등에 대해서

새로운 기준을 가져가자는 이야기로 발전한다.


서로 다른 성별의 것을 빼앗음으로써 가져오는

평등이 아니라 오롯이 한 사람으로 가져가야 할

평등과 자유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내가 그동안 살아오며 느꼈던 불편함이나 불공정함이

내가 비뚤어져서 가진 생각이 아니라

우리가 잃어버린 것이었다는걸,

그것을 바꿔나가기 위해서 어떤 시선을 가져야 할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작가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음으로 인해서

7가지 죄악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세상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게 맞춰져야 할 많은 것들,

그 속에서 잃어버린 여성들의 자유를 찾아본다.


"이 글은 북라이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