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 식당
하라다 히카 지음, 김영주 옮김 / 문학동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르는 것이 생기면 핸드폰을 꺼내서

검색창에 입력하고는 순식간에 빠르고 간단하게

답을 찾아내는 지금과 달리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전,

우리는 궁금한 것이 있거나 모르는 것이 있을 때는

나보다 나이와 경험이 많은 어른들에게 물어보거나

책을 통해서 해답을 찾아보곤 했다.

백과사전의 百이 '일백 백'으로

그만큼 '모든 것이 다 있다'는 것을 의미하니 말이다.


오래된 책 속에는 지식뿐 아니라 많은 시간이 있다.

이런 때묻은 지식들이 가지는 의미를 아는 이들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그 가치를 가진 책들을 보관하거나

부러 오랜 책들을 찾아가기도 한다.


우리나라에도 청계천 헌책방 골목,

인천 배다리 헌책방 골목,

부산 보수동 헌책방 골목 등

오래된 책들을 취급하는 서점들이

몰려있는 골목이 있는데

어쩐지 헌책을 취급하는 이곳들은

'서점'이라는 이름보다는 '책방'이라는 표현으로

부르고 싶어진다.

네모난 판형의 각진 책들이 빽빽하게 자리 잡고 있지만,

차갑거나 모질지 않은 따스한 온도가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도 도쿄 진보초에는 우리의 헌책방 골목처럼

다양한 헌책을 취급하는 서점들이 몰려있다.

각기 서점마다 취급하는 종류도 다양하거니와

서점 사이사이에 있는 기사텐까지

헌책방 거리의 분위기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포인트들이 많은데, 이런 헌책방에 대한 로망과

책방을 찾는 이들이 '어떤 책을 무슨 이유로 찾을까?'

하는 호기심까지 해결할 수 있는 따뜻한 소설을 만났다.


일본의 극작가이자 소설가로,

음식에 대한 탁월한 묘사와 특유의 섬세하면서도

시원시원한 속도감이 돋보이는 필체를 선보이는

하라다 히카의 《헌책 식당》이다.


도쿄 진보초에 있는 헌책방을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헌책방을 운영하던 작은할아버지의 사망 이후,

할아버지의 동생인 '산고 할머니'가

도쿄로 와서 책방을 이어 받으며 운영하는 것을

조카 손녀인 미키키가 도우면서 벌어지는

책방의 이야기를 담았다.


책 읽는 것을 좋아하고, 특히나 오래된 책을 좋아하는

대학원생 미키키는 책방을 통해

지로 할아버지와 함께 했던 과거를 추억하기도 하고,

여러 손님들을 맞이하는 산고할머니의 모습을 통해서

책방을 운영해 나가는 '진심'을 배우게 된다.


그저 '당분간'이라고 했지만,

누구보다 진심으로 책을 아끼고 사랑하는 두 사람이

끌어가는 책방 이야기는 잘 알지 못했던

지로 할아버지에 대한 숨겨진 이야기를

따라가는 시간이기도 했고,

책이 가진 소중함과 가치에 대해서 깨닫는 계기가 됐다.


책방을 찾는 사람들의 사연을 따라

함께 소개되는 책의 이야기는

덩달아 새로운 책을 한 편씩 읽는 것 같았고

미키키나 산고 할머니가 서로를 위해 준비하는

혹은 혼자서 맞이하는 식사시간의 음식 이야기는

책 이야기만큼이나 맛깔스러웠다.


책방과 책에 대한 사랑이 가득한 두 사람이,

'당분간' 유예하는 방식으로 운영했던 이곳에서

진정한 책방 주인으로 거듭나는 과정이 따뜻했고,

도쿄에 간다면 진보초 어딘가에 있을 것 같은

이들의 책방을 찾아가 책을 찾아달라고 물어보고

맛있는 간식을 나누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책만이 가진 힘, 책이 주는 위로와 가치.

그것을 아는 사람만이 제대로 바라볼 수 있는

헌책방의 진가를 하라다 히카의 작품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