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사람 도감
묘엔 스구루.사사키 히나.마나코 지에미 지음, 이지수 옮김 / 서교책방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Manner makes man.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라는 말이 있다.

일상생활 속에서 마주하는 여러 상황 사이에서 우리는 타인들과 부딪치게 된다.

어떤 사람은 사소한 배려나 행동, 말로 인해 "저 사람 너무 센스 있다"라며

의외의 매력을 느끼게 하기도 하고, 같은 상황에서 어떤 사람은

"그렇게 안 봤는데 좀 별로인 것 같아" 라는 인상을 받기도 한다.


센스나 매너라는 것은 그렇다.

누구나 갖추어야 할 '필수'는 아니지만, 갖추었을 때 플러스가 되는 요소.


때로는 그 사람의 센스나 배려가 설사 그 사람에게는 손해나 품을 필요로 하기도 하지만

한 사람의 배려로 인해서 여러 명의 사람들이 편해지기도 하니

이런 사람들을 보며 우리는 "아~ 정말 좋은 사람이다"라고 느끼며 그의 센스에 감탄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좋은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또 '어떻게 해야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까?'

그 물음의 답을 줄 재미난 책을 만났다.

이름부터 한눈에 들어오는 《좋은 사람 도감》이다.


《좋은 사람 도감》은 일본의 젊은 크리에이티브 팀 엔타쿠가 전시했던

'너무 착하잖아展'을 바탕으로 일상 속에 숨어 있는 100명의 좋은 사람을 소개한

전시 원본을 엮은 책이다.


무심코 받고 지나온 일상 속의 배려들을 꺼내고, 사소한 순간 속에서 타인을 배려하는

주변의 '좋은 사람'을 발견할 수 있도록 그들을 재미있는 그림과 함께 소개하고 있었다.


직장 및 학교에서, 취미나 놀이 활동에서 또 밥 먹을 때나 생활 속에서 만날 수 있는

100명의 좋은 사람 이야기를 담았다.


어떤 부분에서는 '이렇게까지 한다고?' 싶기도 했고 어떤 부분에서는 '엇! 이거 내 얘기인데'

'나도 이런 사람 너무 좋아'라는 생각이 연신 들었다.


한눈에 상황을 알아볼 수 있는 그림에 덧붙인 설명들을 보며

사소하지만 타인에 대한 마음으로 배려 넘치는 행동을 하는 센스 있는 좋은 사람을

내가 주변에 두고 있다는 감사함까지 느낄 수 있었다.


절친한 잘 아는 사이거나 가족 등, 나와 관련된 사람들에게는 얼마든지 베풀 수 있지만

사실 낯선 타인이거나 처음 보는 사람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배려나 센스를 베풀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기억에 남았던 좋은 사람 항목 중 하나이다.




15. 잔돈이나 영수증을 지갑에 넣을 때 "천천히 하셔도 되요" 라고 말해주는 계산대 직원

73. "세로로도 찍을게요~"라고 말해주는 사람


잘 모르는 타인에게 전해지는 친절은, 그 사람을 거쳐 또 다른 사람에게 옮겨간다고 생각한다.

내가 베푼 친절이 돌고 돌아 나에게 닿는 날도 있지 않을까.


나보다 타인을 생각한 행동이 크게 와닿을 때가 있다.

자신만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하는 사람들과의 시간에 의미를 더 부여해서 하는 행동 같아서

더욱 진한 감동을 준다.




27. 여러 명이 같이 셀카를 찍을 때 셔터를 눌러주는 사람

28. 여행 때 멀티탭을 가져오는 사람


반면 도드라지거나 타인이 알아차리지 못하지만

들여다봐야만 보이는 좋은 사람도 있다.




34. 설령 돌아보지 않더라도 상대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지켜보는 사람

51. 혼자서 밥을 먹을 때 조그맣게 "잘 먹었습니다"라고 말하는 사람

56. 남이 좌석 앞을 지나갈 때 다리를 들어주는 사람


이 중에서도

56. 남이 좌석 앞을 지나갈 때 다리를 들어주는 사람 항목은

어쩌면 내가 타인들에게 바라는 배려여서 더 좋은 사람의 항목으로 느꼈는지도 모르겠다.

요즘은 개인주의 성향이 워낙 강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배려하는 것이 짐짓

나에게 피해나 손해를 준다는 비뚤어진 생각으로 이어지기도 한 것 같다.


영화관이나 경기장, 공연장, 대중교통 등 여러 사람이 함께 이용하는 시설에서

지나가는 사람을 위한 배려가 부족한 경우가 참 많았다.

통로에 둔 짐을 치우거나 타인이 지나가기 쉽게 몸을 틀어주거나 다리를 들어주는 정도의 센스는

자신에게 손해나 피해가 아닌데, 요즘은 '알아서 지나가라'는 식이 많아서 아쉬웠었다.

그래서 더욱 빛나게 느껴졌던 항목이었다.


'좋은 사람'이라는 것이 상대적인 기준일 수도 있지만 누가 봐도 좋은 사람은 있을 수 있다.

직접적으로 연관된 인연인 사람들과 달리

일회성으로 마주하게 되는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사람의 진가가 드러나기도 한다.

누군가 상대방을 바라볼 때, 식당이나 상점 등에서

직원을 대하는 태도를 본다고 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런 점에서 다음의 항목들은 설사 이들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해

'의도한' 행동이라 하더라도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행동들이기도 하다.




42. 직원이 요리를 가지고 왔을 때 식탁에 자리를 만들어주는 사람

55. 식기를 퇴식구에 넣을 때, 구멍을 통해 주방에 있는 직원에게 "잘 먹었습니다"라고 말하고 가는 사람

58. 푸트코트에서 식탁에 흘린 음식물을 닦은 뒤에 자리를 떠나는 사람

59. 젓가락을 떨어트린 순간 새젓가락을 달라고 대신 부탁해주는 사람


전화나 채팅 상담을 하는 사람들에게 폭언을 하거나

서빙이나 청소를 하는 사람들을 우습게 보며 반말을 하고 막 대하는 사람들도 있다.

결국은 사람이 하는 일, '뒤에 사람 있어요'라는 말을 늘 잊지 않는

의식적으로라도 말하고 행동하는 좋은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전시로도 소개되었던 100명의 좋은 사람 소개를 보며 주변의 사람들을 떠올리거나 발견하고,

좋은 사람들의 행동을 통해 반대로 하지 말아야 할 것들도 배웠다.

사람과 사람이 함께 사는 세상, 어쩌면 서로 배려하는 것은 당연한데

너무나 퍽퍽해진 마음에 이런 사소한 배려가 '좋은 사람'이라는 이름을 만들어낸 것 같다.


일상 속에서 사소한 배려로 타인을 따뜻하게 만들어주는 좋은 사람.

이들을 발견하고 또 내가 타인에게도 좋은 사람이 되어주는 선순환이 계속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