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하나, 서른아홉 - 요즘 여성들이 쓰는 뉴노멀 트렌드코리아 리서치 시리즈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해 꾸준하게 읽는 책이 있다면
바로 <트렌드코리아> 시리즈이다.
회사에 다닐 때는 업무의 연장선으로
숙제하는 마음을 담아 요약된 내용이라도 읽으려고 했고,
이제는 누구도 읽으라고 하지 않지만
다가오는 새해를 준비하며 4분기에 접어들면
반사적으로 내가 먼저 찾아 읽고 있다.

한 해의 트렌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소비를 통해서 기저에 깔려있는
키워드들을 통해 '재발견' 혹은 '정의'하는
그 내용들이 꼭 트렌드를 업무에 활용하기보다는
시대의 흐름을 읽는 '눈'으로 갖고 싶었다.

트렌드코리아 시리즈는 아무래도 전 연령, 성별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내용을 다룰 수밖에 없기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도 보다 모집단이 작은
좀 더 세밀화된 나이나 특정 성별로 한정된
분석이 궁금하다는 생각을 종종 가졌다.
특히 나와 비슷한 나이와 성별을 가진 이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그들의 라이프트렌드도
궁금했고 말이다.


이번에 트렌드코리아 팀은
한화손해보험 LIFEPLUS 펨테크연구소와 함께
2030여성을 보다 잘 이해하고, 변화하는 삶의 모습을
면밀히 조망하며, 동세대에게도 인사이트와 영감을 주는
새로운 리서치 시리즈를 준비했다.
《스물하나, 서른아홉》이라는 제목으로
가장 핫한 인구 세대이자, 트렌드를 이끄는
소비문화의 리더인 2030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을 분석하고 인터뷰하며 설문조사를 통해
라이프트렌드를 분석한 보고서를 낸 것이다.


내가 속한 구간대이기도 하지만,
나의 삶의 모습이 '보편적'인지에 대해서
직접 판단하고 측정할 수 없기에,
또 다양한 과업들 사이에서 줄다리기를 하는
현대의 여성들이 살아가는 모습이 너무나 궁금했다.
특히나 MZ 세대의 막차급으로 걸쳐져 있는
나와 나의 친구들은 결혼 여부에 따라서
전 세대와 비슷한 삶을 사느냐
다음 세대와 비슷한 삶을 사느냐로 모습이 다르기도 했고,
때로는 이해하기 힘든 20대들의 모습에서
그들이 그런 모습을 보이는 원인이 무엇인지
찾고 싶기도 했다.


저자인 트렌드코리아팀은
"우리는 2030 여성들의 삶을 'Me, Us, Growth'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했다."라며
'Me'에서는 몸과 마음,
'Us'에서는 우정·사랑과 결혼·출산,
'Growth'에서는 커리어와 투자·소비에 집중해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책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를 꼽아보자면
"나다움"이 가장 마음에 남는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아름답다는 말의
'아름'이 의미하는 게 '나'라고 한다.
어떤 아름다움이라는 것이 어떤 객관적인 평가에서의
우월이 아닌 '나다움'이라니,
남들과 같은 모습이 아닌 나만의 분위기, 나만의 느낌을
그 자체로 어여쁘게 여기는 마음이 어쩐지
'남들보다 우월할 필요 없이,
있는 그대로의 나를 유지하면 돼'라는 생각에
어쩐지 자존감도 올라가는 것 같았다.

이런 '나다움'의 기조는 몸과 마음의 건강함을 추구하고
나아가 우리가 품은 사회적 관계에 대한 고민
(결혼, 우정, 사랑 등)을 함께 나누며,
어떤 관계적 측면이 아닌 자기 스스로를 바라보며
자기계발과 커리어 측면에서의 성장까지 바라보며
점차 확대되어 2030여성들의 라이프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게 했다.

2030 여성이라 하면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가장 큰 소비문화의 리더이자
모두가 선망하는 연령대인데,
그들이 직면한 삶의 여러 문제(point)들이
그녀들에게는 어떻게 다가오고 있는지,
그 문제들을 그들은 어떻게 바라보고 풀어가는지
사회적 관점으로도 지켜볼 수 있었다.

내가 해당하는 연령대의 이야기라
여러 면에서 공감도 가고,
막연했던 나의 마음들이 이런 같은 연령대의
여성들이 다들 느끼는 문제에서 오는 불안이라는 것도
새삼스럽게 깨달을 수 있었다.

나를 더욱 잘 알고 가꾸며,
결혼과 출산 등 관계에서도 현명한 선택을 하고
타인이나 관계에서 오는 포기 등이 아닌
오롯이 나를 위한 성장과 커리어를 쌓아가려는
대한민국 2030 여성들의 오늘을 응원하게 됐다.

소비문화 트렌드의 리더로서 그들을 분석해
이들을 활용하기 위한 정보를 얻기보다
이들을 이해하고 들여다보는 과정에서
오롯이 '나'로 존재하고 싶은 그녀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있는 계기로 다가왔다.
2030세대로, 여성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서
그들에게 주어지는 많은 과업과 시선,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나'로 존재하며 그 존재감을
맘껏 펼칠 수 있기를 바란다.

"이 글은 미래의창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