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이름 - 우리가 몰랐던 독서법 125
엄윤숙 지음 / 사유와기록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헌정보학을 전공하며 책과 가까운 시간을 보냈다.

책을 비롯해 다양한 정보 자원의

생산, 가공, 검색, 수집, 유통, 활용과

관련된 학문으로 도서관과 책, 그리고 읽기는

빼놓을 수 없는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책을 읽는 사람들이 점차 줄고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책을 읽고 있고,

한 달에, 일 년 동안 몇 권의 책을 읽었다던가

하는 이야기를 볼 때면

'나의 읽기는 어느 정도 와 있지?'

라는 생각을 들게 했다.

독서에 정해진 정답이 있는 게 아니고,

질적인 부분을 수치로 나타낼 수 없기에

타인과의 비교를 할 필요는 없지만

어쩐지 나의 독서생활에 무언가 결과물로

도출해야만 한다는 강박이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학교를 다니던 시간이 지나고

손을 떠났던 책을 다시 읽게 된 것은

'마지막 교양의 끈'으로써였다.

단순히 책을 읽고 덮기를 하다가,

읽었던 책을 모르고 다시 읽는다거나

읽기는 했지만 무슨 내용이었는지 기억을 못 한다거나

하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독서기록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러다 읽은 책의 표지나 구절들을 사진으로 남기거나,

한두 줄의 감상을 덧붙이던 나의 독서는

조금 더 나아가 마음에 남는 구절을 옮겨두고,

본격적인 독후기록을 남기면서 한 단계 나아가게 됐다.

그러다 보니 읽었던 책도 기억 못 해 다시 읽던 나는

한 권의 책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여러 번 읽게 되기도 했고,

다양한 읽기 방법을 거치는 등

무어라 정확하게 정의할 수 없지만

확실한 건 전보다는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는 것.


'독서'라고 단순하게 명명하기에는

책을 읽는 방법이 너무나 많다.

어떻게 책을 읽어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혹은 내가 책을 읽는 방법을 무어라 하는지

제대로 된 이름을 정의하고 싶었던 이들에게도

추천하고픈 《독서의 이름》이다.


작가는 독서의 윤슬이 다양한 색과 모양으로

빛나는 순간을 포착하고 목격하는 책으로

이 책을 소개한다.

독서를 나타내는 다양한 이름을 통해

'독서란 무엇인가?' '읽기란 무엇인가?'를

독자들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해주었고,

내가 독서하는 모습에 대해서도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게 해 주었다.


읽는 방법에 따라 106개의 이름으로 독서를 소개하고,

어떤 공부나 학문을 연구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외는 독서, 훑어보는 독서, 쓰는 독서를 소개함으로써

단순히 읽는 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는 독서에 이르는 방법까지 안내를 한다.


텍스트 읽기를 점차 귀찮아하고

사진이나 영상 등의 미디어 노출이 많은

현대사회에서 오롯이 책과 함께하는 시간의 주는

안락함의 매력을 아는 사람들이라면

기꺼이 흥미롭고 즐겁게 읽을만한

그런 책이 아닐까 싶다.


이토록 많은 읽기의 방법이 있었나 하며,

각 독서의 이름들의 의미를 깊게 들이마신다.

혼자 읽는 독서뿐 아니라, 여럿이 함께 읽는 독서나

혹은 외워 읽는다는 자체에도 얼마나

폭넓은 의미를 담을 수 있는지 독서의 이름들을 훑으며

새로운 독서방법을 익힐 수도 있었다.


책을 읽는 데에도 각자의 스타일이 있기 마련이다.

어떤 사람은 한 번에 한 책을 읽고,

누군가는 동시에 여러 책을 병렬로 읽기도 한다.

누군가는 밑줄을 긋고 누군가는 책 귀퉁이를 접으며,

누군가는 흔적 하나 없이 소리 없이 조용히

마음속으로 따라 읽기도 한다.

책 자체에 생각을 적는 이도 있고,

누군가는 책의 구절을 손으로 옮기기도 하며,

책을 다 읽은 후에도 마음속에만 담고

두고두고 한 번씩 꺼내보는 사람이 있는 반면

누군가는 꼭 책에 대한 기록을 보이는 형태로

남겨두기도 하니 말이다.


독서에 정해진 옳은 방법이 있을까?

무엇이 맞고 틀리다고 할 수 있을까?

'읽는 사람'으로서 살아가는 우리들의 독서시간이

어떤 식으로든 각자에게는 '의미'로 남는 것 아닐까?

이토록 방대하고 넓게 반짝이는 독서의 윤슬을

같이 알아보고 바꿔보자고 나지막이

독서의 이름들을 불러주는 것 같았다.


한정된 방법으로 읽고 있던 나는

무언가 다른 방식의 읽기를 시도하고 싶었는데,

내가 하던 독서가 무엇이었는지

정확하게 정의하는 과정이었고

어떤 방법으로 읽어봐야 할지

흥미 또한 커지는 느낌이었다.


여전히 오늘도 책을 읽는다.

책에 담긴 글자를 눈으로 읽고 손으로 쓸며

마음속으로 부르고 들으며

의미를 흡수하고 내 것으로 소화해서

그것을 다시 독후기록으로 배출시킨다.

넓은 독서라는 세계에서

마치 신대륙을 발견한 것처럼

짜릿했던 시간!

'유레카!' 하고 빛나는 독서의 윤슬을 담은

《독서의 이름》이었다.


"이 글은 사유와기록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