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코리아 2025
김상균 외 지음 / 파지트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I 인공지능을 빼놓고는 말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산업혁명 시대를 넘어 지능혁명 시대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지금,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AI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흐름일 수 있다.


AI 인공지능 하면 챗 GPT 정도로 생각하는 이가 많다.

나 역시 인공지능은 특정 분야나 한정된 서비스와

연관 지어 우리의 생활과는 '그래도 아직은 먼'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했었는데,


농업, MICE, 철강, 의료, 교육, 영화, 제약을 비롯해

법률과 정책에 이르기까지 AI와 함께

어떻게 발전해 나가고 있는지

AI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는

《 AI 트렌드 2025》를 만나보게 되었다.



자원을 바탕으로 발전시켰던 산업혁명 시대를 넘어
이제는 콘텐츠와 경험이 주를 이루는
지식혁명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
기존에 지속해오던 다양한 산업들도
이런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포지셔닝이나
다양한 활용이 필수가 되고 있는데,
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혹은
'이런 산업에서도 AI를 활용할 수 있다니?'라는
궁금증이 있었던 사람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열어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대표 저자를 포함해서 10인의 저자들은 각 산업별로
AI를 도입, 활용하고 있는 현황과 더불어
앞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각도의 방법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었다.

한정적으로 생각하고 인식했던 AI 산업에서 벗어나
그나마 많이 들었던 부분은 농업이나, 교육, 영화였다.
이번에 《AI코리아 2025》를 통해서는
MICE나 철강, 의료, 제약에 대해서도 접할 수 있었고
법률이나 정책까지 이를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활용도가 높다고 생각했던 것은
농업 분야나 법률 분야였다.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 위기 시대로 접어들면서
환경문제들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고스란히
가장 큰 피해를 초래한 것은 농업 분야였다.
수시로 변화는 기후 앞에서 농작물을 키우는
농부들은 그동안 겪어보지 못했던 문제들을
마주하게 되었고, 키우는 작물에 대해서
보다 면밀하게 살필 수 있는 데이터의 필요성도 커졌고
이 밖에 기후나 환경에 관계없이 주어지는 공간에서
키울 수 있는 스마트팜의 선호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앞에서 AI의 활용은 무궁무진하고
이를 통한 새로운 미래의 일자리나 창업 기회까지
얻을 수 있다고 하니, 자급률이 그리 높지 않은
현재의 대한민국에서 농업의 가능성을 키워주는
좋은 하나의 포인트가 될 것 같다.

법률에 대해서는 어렵게만 생각했던 이들에게
좀 더 쉬운 접근과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수단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인공지능의 도입으로 미래에 없어질 수 있는
직업군으로 법률 쪽이 언급된 적이 있었다.
법률 서비스에서는 방대한 분량의 판례나 서류들,
또 어려운 용어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있다.
AI 서비스 도입으로 인하여
시간 단축이나 해석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뿐더러,
정확성 강화 또한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렵고 멀게만 느껴졌던 AI에 대해서
다양한 산업 군에서 활용하고 있는 현황을 살펴보며
지식혁명 시대에 다가가고 있는 오늘을 볼 수 있었다.
시장을 흔들고 있는 AI의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활용해 잠재력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겠다.

"이 글은 파지트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저의 솔직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