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삭임의 바다 다산책방 청소년문학 23
팀 보울러 지음, 서민아 옮김 / 다산책방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들리는 파도 위에서

오로지 나의 감과 바람에 의지한 채

새로운 곳으로 나아가는 모험은

인생이라는 흐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운명'처럼 다가온 일련의 사건 앞에서

두렵지만 마음속으로 생각해온 결심을

실천으로 옮기며 성장해 나가는

소녀의 모습을 보며 진정한 의미의 '용기'와

자신의 굳은 심지를 믿는 그 마음을 통해

"그저 앞으로 나아가기만 하면 돼!"라는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던 작품을 만났다.

팀 보울러의 《속삭임의 바다》이다.


외딴곳에 바다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모라 섬.

이곳에서 나고 자란 헤티는 마을에 사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없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바로 바다유리를 통해 다른 이들은 보지 못하는

형상을 볼 수 있다는 것인데,

사고로 부모님이 돌아가신 뒤

헤티를 보살피고 있는 할머니도,

또 어렸을 때부터 함께한 친구인 탐도

헤티가 말하는 형상을 이해하고

보고 싶어 하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남들과 다른' 헤티의 모습이

마치 '틀린' 것처럼 보이기 시작하고

오랜 시간 섬을 꾸려온 노인들을 비롯해

몇몇의 사람들에게 '이상한 아이'로

보이기 시작할 무렵

마을에서는 가장 의미 있었던 행사 날

뜻깊고 의미 있었던 '모라섬의 자랑'이

갑자기 찾아온 폭풍으로 인해 부서지고 만다.


모라섬의 자랑을 만들었던 이들의 일부이자,

현재까지 마을에서 가장 오래 산

누구보다 입김이 센 퍼 노인은

자신이 며칠 전부터 꿔온 꿈이 있다며

'모라 섬을 향해 악이 다가오고 있다'는

예언 아닌 예언을 한다.


폭풍으로 아수라장이 된 섬 속에서

낯선 작은 배 한 척이 발견되고

그 속에서는 헤티가 바다유리를 통해서

본 모습을 한 노파가 나타난다.


퍼 노인을 비롯해 마을의 사람들은

발견된 노파를 구하느냐 하는

문제 앞에서도 의견이 나뉜다.

마을을 엉망으로 만들고 모라섬의 자랑을 부순

폭풍을 불러일으킨 것이 저 노파 탓이라며

그녀를 구하지 말자는 의견과

위험에 빠진 노파를 구해야 한다는 의견.


바다유리속에서 본 노파가 어쩐지

'자신을 찾기 위해 온 것 같다'는 생각을 한 헤티는

반대 의견을 가진 마을의 노인들과 부딪치게 되고

상황은 악순환이 연속되듯 섬을 오랜 시간 지킨

노인들이 차례로 세상을 떠나며

섬에 있는 주민들은 서서히 갈라지기 시작한다.


고립된 섬이라는 공간에서

서로가 서로를 도우며 살았던 모라 섬.

폭풍으로 인해 그들과 외부를 유일하게 연결하고

섬을 위해 꼭 필요했던 배인 '모라섬의 자랑'이 파괴되고

이윽고 나타난 낯선 외지인의 등장 앞에서

사람들은 낯섦을 두려움으로 느끼며 배척하게 된다.


사고로 떠난 부모님의 사망 이후

줄곧 외로움을 느끼던 헤티는

유일하게 자신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것 같은

바다유리를 통해 보았던 형상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궁금해하던 찰나에

등장한 낯선 노파에게서

어쩐지 알 수 없는 운명을 느끼고,

노파와 함께 자신의 작은 배인 '아기돌고래'를 타고

태어나 줄곧 벗어나지 않았던 모라섬을 떠나

새로운 곳으로 향하는 여정을 선택한다.


폭풍우가 가시지 않아, 파도는 연신

헤티의 작은 배를 흔들고 위협했지만

그 어려운 상황과 혼란스러운 심리상태에서도

헤티는 자신의 것을 낯선 노파에게 나누고

그녀를 보호하며 앞으로 나아가고 또 나아간다.


《속삭임의 바다》를 쓴 팀 보울러는

리버보이로 잘 알려진 작가로,

성장소설을 다루며 많은 이들에게

따스한 감동을 전하고 있다.


《속삭임의 바다》를 통해서는

고립되고 폐쇄된 모라 섬이라는 공간에서

나고 자란 헤티라는 소녀의 시선을 통해

새로운 운명을 개척하기 위해

스스로 나아가는 모습을 그려냄으로써

진정한 성장이란 무엇인지 감동을 보여주고 있었다.


처음에는 바다유리를 통해 본 형상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헤티의 모습이나

한 번도 만나지 않았던 노파를 위해

'이토록 헌신적인' 헤티의 마음이 이해가 가지 않았다.

하지만 모두가 정하고 공감하는 무언의 룰이 있는

이 공간에서 타인과 다르다는 이유로 배척을 당하는

헤티가 새로운 세상을 향한 마음을 키운 건

어쩌면 당연한 순리일지도 모르겠다.


아직 어린 소녀가 더 위험해질 수도 있는데

그 위험을 감수하고도 노파와 함께 모험을 떠나고

또 그 힘든 여정 속에서도

자신보다 유약한 존재를 지키며

보호자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는 것을 보며

진짜 운명을 향한 헤티의 뜨거운 열정 자체로도

얼마나 큰 감동을 느낄 수 있는지 깨달았다.


이윽고 도착한 섬은 생각했던 곳보다 훨씬 먼,

노파가 떠나온 섬으로 그녀의 가족을 만나고

숨겨진 사연을 알게 되면서 풀리지 않았던

궁금증의 실마리가 해결되었는데,

이미 떠나올 때부터 마음먹었던 것처럼

헤티는 자신이 나고 자란 모라 섬으로 돌아가지 않고

새로운 운명을 받아들이는 모습이

이미 성장한 하나의 멋진 '운명체'임을

스스로 증명하는 것이 아닌가 싶었다.


자신의 존재에 대해서,

또 무엇을 해야 하는지,

남들과 다른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

늘 가득했던 물음표를 섬을 떠나 바다를 모험하며

스스로 답을 찾은 듯해서 대견하기까지 했다.


용기 있는 한 소녀의 선택은 섬의 운명 또한 바꾸었고,

노파의 마지막과 헤티 자기 자신의

앞으로의 인생까지도 달라지게 했다.


무언가를 따르거나 정해진 길을 걷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길을 스스로 개척하고 만들어가며

이윽고 다다른 헤티의 용기에 큰 박수를 보낸다.


소설을 따라가며 그려지는 바다의 풍경과 내음,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뜨겁게 피어오르는

헤티의 용기를 보고 있자니

흔들리는 현실 앞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마음을 다잡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이보다 좋은 약은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강렬하면서도 신비로움을 그대로 담은

팀 보울러만의 감성을 제대로 느낄 수 있었던

청소년 소설 《속삭임의 바다》였다.


"이 글은 다산북스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저의 솔직한 후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