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보영 선생님~ 우리 아이 영어 어쩌죠? - 아이의 평생을 생각하는 영어교육법
이보영 지음 / 예담Friend / 2014년 12월
평점 :
이보영 선생님 우리 아이 영어 어쩌죠?
아이영어, 엄마가 가르치지 말라고요?

이 책을 보게 된 이유는
아이 영어, 엄마가 가르치지 마라!!
이 이야기 때문이였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영어전문가 이보영 쌤의 이야기이니~
무슨 이야기인, 궁금하기도 하고
요즘 엄마표로 영어 진행을 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고,
나 또한 영어학원에 보내지 않고,
집에서 함께 영어를 하고 있는 입장으로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엄마표로 영어를 함께 하다보면
엄마 역시, 공부를 많이 해야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요즘은 영어 공부법이나 영어독서등
영어 지도법에 대한 책들이 참 많이 나오고 있는 거 같다.
우리 아이 영어 어쩌죠?라는
타이틀이 참으로 공감이 간다.
정말 어쩌죠? ^^;;
어쩌죠?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해야하는 것이 좋은 방법인지
고민하고 또 공부 할 필요를 느끼기도 한다.
이보영 선생님 우리 아이 어쩌죠?는
'실전 로드맵'이라는 타이틀로
많은 책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기본적인 영어교육에 대한 이론이나
영어교육에 대한 진실과 오해에 대해서
앞부분에 간단하게 언급하고 있고
좀 더 실제로 활용할 수 있거나, 궁금한 점을 많이 다루고 있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첫번째 내 아이 영어 교육,
얼마나 알고 있나요?에서는
영어교육의 시작은 아이가 먼저라는 이야기에서부터
영어를 하는 시기, 또 궁금해 했던 점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보통, 영어를 언제 시작해야하나?를 많이 궁금해하고
우리 아이는 너무 늦지 않았나~ 걱정하기도 하는 거 같다.
요즘 아이들은 영어를 시작하는 시점이 정말 빨라진 거 같기도 하다.
영어유치원을 다니는 아이가 아니더라도
대부분 유치원에서 영어에 대한 시간을 두고 있으니까 말이다.
영어 유치원을 다녀서 아이가 영어를 좋아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오히려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아서 영어를 싫어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수많은 영어사례에 대한 이야기는
단지, 우리 아이의 이야기가 아닌
다른 아이에 대한 이야기로
역시, 가장 중요한 건
옆집 아이가 언제 시작했는지가 아니라
내 아이에게 맞는 시기를 찾는 것이라는 이야기에
동감한다.

영어는 나 역시 어릴때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도 어떤 계속 해야할 과제라는 생각을 들게 하는 것이다.
영어만을 사용하지 않은 환경에 있는 우리 아이들 역시
영어는 계속 함께 가야하는 것 같다.
그런 장기레이스는 영어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는 이유중에 하나는
아이가 영어에 대해서 스트레스를 받기보다
영어를 좋아하고 즐기길 바라는 마음에서이다.
엄마의 조급한 마음 때문에
아이가 너무 빨리 지쳐 나가떨어지는 일은 없어야할 것 같다.

학교 영어는 참 쉽다.
영어학원은 학교 영어를 위해서 보내는 것이 아니다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그럼, 영어교육에 공교육은 없다는 말일까?
이제 3학년이 되서 학교에서 영어과목을 시작하게 되니
더욱 더 궁금하기도 하다.
실제로 영어 교과서 내용을 보면
아이들이 유치원에서부터 했던 간단한 회화들로 시작하는 거 같다.
교과서만큼 친절하고 지혜로운 영어 교재는 없다??!!!

왜~ 교과서 만큼 친절하고 지혜로운 영어교재가 없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준다.
영어에서는 대화를 이끄는 일정 패턴이 있는데
그것을 교과서에서는 잘 나타내주고 있다고 한다.
교과서는 너무 쉬워하지만, 이건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시작하는 때를 말하는 거 같고,
학년이 높아지고, 중학교, 고등학교에 간다면
교과서를 제대로 이해하고 공부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 되야할 거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고 싶게 만들었던 말!
아이 영어, 엄마가 가르치지 마라!!!
음~~ 어떤 의미일까?
엄마표 영어, 제대로 즐길 수 없으면 포기하라~~
아이랑 함께 영어를 하다보면
스트레스를 받을 때도 있고, 아이의 성장에 굉장한 기쁨을 느낄 때도 있다.
엄마가 영어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 걸 아이가 안다면
아이는 엄마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받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제대로 즐길 수 없으면 포기하라라는 말을 하는 걸까?

이보영쌤이 이야기한 엄마가 아이영어, 가르치지 말라고 하는 것은
티칭은 전문가에게 맡겨라는 말로 대신 할 수 있을 거 같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티칭과 코칭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티칭은 전문가에서 맡기고,
코칭은 엄마가 해야한다는 이야기다.
이부분을 보고,
아이영어, 엄마가 가르치지 말라는 말의 의미는 이해하기 시작했다.
엄마가 영어 선생님을 대신하기엔 넘어야할 산이 참 많은 건 사실이다.
그럴때는 티칭은 전문가에게 맡기고
코칭은 엄마가 해야하는 것이
방법일 수도 있을 거 같다.
아직, 영어학원에 보내고 있지는 않지만
좀 더 크면 영어학원에 보낼 수 있으니,
그때 엄마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이 바로 코칭맘에 대한 이야기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아이영어, 엄마가 가르치지 말라는 이야기는
전연령에 해당하는 말이 아니라
아이가 영어를 학습으로 받아들이고 해야하는 시기에
맞는 말이 아닐까 싶다.

초등3학년!!
왠지 요즘은, 초등 3학년하면 영어교과가 시작되기 때문이기도 하고
뭔가 더 늦기 전에 영어학원을 보내야하는 시점이 된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 때인거 같다.
언어교육학자들은 만 10세에 주목한다고 한다.
만 10세는 인지에 해당하는 뇌의 일부분이 발달하는 시기로
틀린 것을 이해하고 패턴이나 문장 구조를 이해해 활용이 가능한 시기라고 한다.

주변에 보면 초등 3학년이 되기 전에 영어학원을 보내는 것이 좋다는
엄마들도 꽤 많이 만날 수 있다.
인지력이 발달해 학습 속도가 빨라지는 초등 3학년 즈음이 되어도
아이가 계속 해서 반복되는 실수,
몇 번을 설명해도 여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은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하지만 이일은 더 이상 엄마 아빠가 할 수 있는 일의 범위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