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렇게 보낼 인생이 아니다
아난드 딜바르 지음, 정혜미 옮김 / 레드스톤 / 2018년 1월
평점 :
이 모든 것들이 소중한 선물이자 기적이라는 걸 잊고 사는 거야. 삶에서 매일매일 선물을 받지만 그걸 낭비하는 거지.
한 순간의 선택으로 식물인간이 되어 기계들의 도움으로 삶을 간신히 연명하고 있는 그가 바로 이 책의 주인공이다. 삶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으로 가득 차서 이 지긋지긋한 생활을 끝내겠다며 그가 선택한 것은 바로 독으로 인한 죽음. 간신히 목숨은 건졌지만 그는 눈동자마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듣고, 볼 수는 있었으나 의식이 있다는 것을 그 어느 방법으로도 표출할 수 없었던 그. 가족들의 아픔과, 의사 그리고 간호사의 비리 등을 목격하면서도 위로를 해 줄 수도, 도와달라고 소리칠 수도 없었던 그는 과연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무엇을 깨달아 알았을까?
이 책은 그가 깊은 공허함 속에서 자신의 의식과 나눈 이야기들을 통해 깨달은 것들을 기록한 것이다. 그는 평소에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것들-매일 아침에 일어나고, 심장 박동과 감각을 느끼고, 생각할 수 있고,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할 수 없게 됨으로 오히려 그것들의 경이로움을 뒤늦게야 깨닫게 되는 것과, 아픔으로 인해 가족들이 더 단결되는 아이러니한 모습을 보고 그는 질문을 던진다. 부모님이 슬퍼하시는 모습을 보고 후회하고, 더 괜찮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지 않았는지 계속해서 질문을 던진다. “왜 진작 자기에게, 또 주변 사람들에게 더 잘하기로 선택하지 않았을까?”
올 때는 순서가 있어도, 갈 때는 순서가 없다. 그만큼 죽음은 언제 어디서든지 우리를 찾아올 수 있고, 우리는 언제 사랑하는 사람들의 곁을 떠나야 하는 지를, 또 떠날 지를 예상할 수 없다. 그렇기에 매사에 충실하고, 주위 사람들을 사랑하라고 권고하는 것이 아닐까. 인생은 사랑만 하기에도 짧은 시간인데, 미워할 시간이 어디 있냐고 그들이 반문하듯.
책의 제목은 [그렇게 보낼 인생이 아니다]이다. 어떻게 보면 의식이 주인공에게 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죽음의 문턱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그가 독자들에게 충고하는 것이라 받아들일 수도 있다. 미워하면서, 불평과 불만으로 가득 차서, 괴로움과 불행만 가득하게 보낼 인생이 아니다. 그러기엔 당신이 너무 소중하고, 그 인생의 가치가 너무 높다. 그렇다면 어떻게 살아야 할까? 무엇이 삶의 의미일까?
자기 자신이 되는 것, 그것이 삶의 의미군!
있는 그대로의 자신이 되는 것,
그건 존재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기회를 즐기는 걸 말해.
우린 우리 자신으로 살아갈 수 있는 짧은 시간을 부여받았으니,
최대한 그 시간을 활용해야 해….
책이 말하는 인생의 의미는 이것이다. 당신의 소중한 인생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 때, 그는 이렇게 대답한다. 이 세상에 당신 같은 사람은 단 하나 뿐이고, 인생 역시 단 한 번뿐이니, 그 누구도 살 수 없는 당신만의 삶을 살으라고. 인생은 짧고 사람은 연약하니, 다른 사람의 눈치 보기에도 짧은 시간이니, 당신만의 삶을 찾으라고. 그리고 그렇게 살아 나가라고.
정말 당연한 사실이지만 우리는 이것을 종종 잊는다. 갖고 있을 때에는 그것의 소중함을 모르다가, 그것을 잃게 되고 빼앗기게 되면 그제야 뒤늦게 소중함을 알게 된다. 우리 곁에 있는 모든 것의 소중함, 그 존재의 가치를 더 진작, 더 빨리 깨닫게 된다면, 우리가 대하는 삶의 태도가 완전히 변화돼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될 수 있을 텐데. 그 누구도 내가 될 수 없으니, 다른 사람이 되려고 하지 말고 나만의 삶을 누리고 즐기라고. 그러기에도 시간은 매우 짧다고.
삶과 죽음의 기로 사이에서 사람은 정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그리고 [그렇게 보낼 인생이 아니다]를 통해 그 기로 사이에 서 있는 사람의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면서 나 역시 삶과 죽음에 대해, 인생에 대해, 나의 태도에 대해 다시 한 번 더 뒤돌아보고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2018년의 1월도 벌써 반이 거의 다 되어 가고 있는 이 시점에, 나를 성찰할 수 있게 만들어 준 [그렇게 보낼 인생이 아니다]는 삶의 태도를 바꾸어 준 아주 소중한 책으로 기억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