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별의 순간을, 와이낫 - 효과적 학습과 폭발적 창조의 뇌과학적 핵심 원리
방형찬 지음 / 바른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처음 보았을 때, 제목이 조금 생소하고, 특이해 보였다. '나도 별의 순간을, 와이낫 why not?' 도대체 저자가 책을 통해서 무엇을 말하려는 것이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 그러다가 '목차'와 '책'에 관한 설명을 자세히 읽어보니, 뇌 과학에 관한 책이었다.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는지? 창의력을 폭발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지 뇌 과학 이론에 근거해서 설명해 준 고마운 책이다. 저자는 워싱턴대학교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고, 前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교수(1983~2011)를 역임하신 분이시다.

1. 뇌는 '가소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뇌에 지속적인 정보를 주면 해당 뇌 영역의 기능과 역할이 바뀌는 것이다. 미국 텍사스 대학에서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 청소년 600명을 대상으로 두 그룹으로 나뉘어서 실험을 하였다. 첫번째 그룹의 학생들에게는 치료만 받게 하였고, 두번째 연구 그룹의 학생들에게는 '뇌의 가소성'에 관한 정보를 읽게 하였다.

첫번째 그룹의 학생들은 9개월의 계속된 치료에도 우울증 증세가 39% 증가하였지만, 두번째 그룹의 학생들은 9개월 후에 우울증 증세를 평균적으로 거의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두 그룹의 차이는 단지 '뇌도 변한다'는 정보를 보았는가? 아닌가? 뿐이었다. 우리 뇌는 항상 변하며, 쉽게 변한다는 것을 학생들이 단순히 인식하기만 해도 정상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 결과였다. (p.26~27)

▶이러한 연구 결과가 놀랍고,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그리고 최근에 읽었던 박세니 대표님의 <멘탈을 바꿔야 인생이 바뀐다> 책 내용이 생각났다. 자신 스스로와 미래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하고 살아가는지에 따라서, 그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서, 그것을 해내기도 하고, 그것을 해내지도 못한다고 한다. 결국, 믿음이 중요한 것이다. 너무나 잘 아는 것 처럼, 생각은 행동을 낳고, 행동은 습관을 낳고, 습관은 인생을 결정짓는다!

2. 우리가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면, 뇌에는 관련 신경들의 새로운 시냅스 연결들이 만들어지고, 기억에 남는다고 한다. 또 이 연결망을 자주 사용하면 새로운 시냅스가 만들어지거나 강화되고 오래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된다고 한다. 이러한 시냅스 연결의 변화를 '시냅스 가소성' 이라고 한다고 한다. 시간이 흐른 후, 이 연결망의 한 신경에 자극 신호가 오게 되면 이 신호가 연결망에 흐르게 되고, 뇌는 관련 기억들을 동원하게 된다고 한다. (p.28~29)

새로운 것을 배울 때, 기억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출력하는 경로가 아직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출력 경로가 충분히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새롭게 배운 내용을 말하거나, 쓰는 방식으로 출력해 보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한다. 기억(학습)과 회상(연습, 복습 과정은 둘 다 새 시냅스 조직을, 즉 새 단백질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고 뇌로서는 많은 에너지가 들어가는 작업이라고 한다.

▶이 부분을 보는데, 공부(학습)의 피라미드가 생각났다. 수동적으로 강의를 듣거나, 책을 읽었을 때보다, 능동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출력해 볼 수 있는 토론, 토의, 가르치기, 설명하기 가 훨씬 기억에 오래 남는다. 이러한 내용들도 뇌 과학적으로 풀어내는 부분이 참 좋았다.


3. 이 책에는 이와 같이 뇌 과학의 이론을 근거하여서, 학습과 창조성, 습관 등에 대해서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 '새로운 것을 배우려면 왜 정신 집중을 해야 하는지, 왜 동기유발이 되어야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왜 습관 고치기가 힘든지,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왜 자유시간이 필요한지 등등을 우리가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주고 있다. 두뇌, 뇌 과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

효과적인 학습(공부) 방법을 배우고 싶은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 부터 책을 받아서 읽고, 주관적인 관점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