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가 지어낸 모든 세계 - 상처 입은 뇌가 세상을 보는 법
엘리에저 J. 스턴버그 지음, 조성숙 옮김 / 다산사이언스(다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지의 세계 중 하나가 뇌일 것이다. 수많은 신경회로의 집약체이자 많은 에너지 소비가 필요한 뇌를 아는 것은 우리 자신을 아는 것과 같다. 마음이 어디 있는지 물으면 한 동안은 가슴에 있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러나 마음이 뇌 속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는, 마치 천둥번개를 맞은 듯 충격에서 쉽게 벗어날 수가 없었다. 당신은 마음이 어디 있다고 보는가?

 

이 책 서두에 블랙박스 테스트에 대한 내용이 잠깐 나오는데,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사람이라면 이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뇌를 블랙박스로 본다면 우린 큰 실수를 하는 것이다. 뇌에 대한 적확한 해석 없이 겉만 핥는 꼴이 되니 말이다. , 화이트박스 테스트처럼 조목조목 다양한 테스트케이스로 블랙박스의 안쪽을 세세히 파악할 때라는 얘기다. 이 책은 뇌의 구조를 행동 연구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 대신 우리 뇌가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뇌의 해석을 통해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의학적 지식 위주로 다루면서도 독자들에게 쉽고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이 책은 상담사례를 통해 어렵기 만한 뇌 과학 및 의학지식에서 벗어나 알기 쉽게 독자들에게 접근한다. 가령, 선천적 맹인은 꿈속에서 무엇을 볼까? 습관 형성을 좌우하는 기억 회로가 따로 있다면? 절단 수술을 받은 다리가 못 견디게 가려울 땐 어디를 긁어야 할까……. 우리의 뇌는 왜, 그리고 어떻게 인식의 빈틈을 메우는가? 우리가 무심코 보는 것이 기분과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저자는 흥미로운 질문에 대한 자세한 신경과학적 답변을 제공하면서 뇌가 어떻게 의미 있는 경험을 만들어내는지 설명한다. 또한, 선천적 맹인이 환각을 볼 수 있을까? 심상 훈련만으로 우리의 신체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가짜 기억은 어디서 형성되며, 외계인에게 납치되었다는 사람들은 실제로 어떤 삶을 살아갈까? 왜 스스로 간지럼을 태울 수 없나? 최면으로 사람을 죽일 수 있을까? 마음이 무너지면 뇌는 어떻게 대응할까? 등 많은 질문을 던지며 그에 해당하는 답을 생각하게 한다. 생각을 이끌어내는 책은 좋은 책이다.

 

뇌는 환경과 상호작용할 때마다 우리 몸의 무수한 감각을 통해 끊임없이 충격을 받는다. 이런 뇌가 항상 하는 일은, 영화 편집자처럼 의미 있는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카메라 영상과 오디오 녹음을 수집하고 편집하는 것이다. 뇌는 우리의 모든 생각과 조각조각 들어오는 인식을 합리적인 이야기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우리가 죽을 때까지 반복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삶의 경험을 쌓고 자신의 감정이나 기분을 스스로 느끼며 자아를 만들고 지켜낸다. 때로는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 도피처까지 만들어가는 뇌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그 놀라운 생명력에 감탄하는 한편, 그동안 모르기 때문에 불안했던 것들이 하나씩 풀리면서 눈이 열리는 기분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환자들의 사례 자체도 흥미롭기 때문에 독자들은 어려운 의학적 지식이나 개념어부터 먼저 접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각 장에서 다루는 내용들과 연계한 [뇌지도]를 첨부하여 실제 우리 뇌의 어느 구석에서 신호가 켜지고 꺼지는지 궁금한 독자들이 직접 찾아보며 읽을 수 있다. 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잠재된 영역뿐 아니라 평생 맞닥뜨릴 미지의 영역을 바라보는 눈을 길러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