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안하지만 스트레스가 아니라 겁이 난 겁니다 - 스트레스라고 부르지만 실상은 두려움이었던 감정에 대하여
베아타 코리오트 지음, 이은미 옮김 / 스노우폭스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늘 스트레스를 받고 산다. 상사에게 질책을 받거나, 프로젝트 유치하기 위하여 제안 PT를 하거나, 보고서의 무덤에서 허우적거리거나, 생각하지 않은 많은 일이 쓰나미처럼 몰려 오거나, 우리는 그때 본능적으로 거부반응을 일으킨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할 때 스트레스를 받는데, 이는 상관관계에 놓여있다. 일에 대한 대가로 돈을 벌기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기에 분통이 터져도, 분노가 치밀어도 폭발 일보직전의 감정을 억누를 수밖에 없는 것이라 생각하며 받아들인다.

이때 여러 가지 반응이 나타나는데, 이 책은 사고, 감정, 신체로 나누어 각 장별로 여러 가지 사례를 보여준다. 읽다보면 고개가 끄덕여지는 부분이 있는데, 그것은 자신의 경험과 일치하는 부분임으로(동감이 가는 부분이므로) 기억 속에 담아두면 좋은 약이 될 것이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스트레스의 정체를 밝혀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이 책은 스트레스의 정체가 바로 두려움이라고 한다. 스트레스로 표출되는 감정이 두려움이라는 뜻이다. 이 책의 내용을 빌리면 다음과 같다. “스트레스 받는다는 말 이면에는 정말 전력을 다했고 모든 노력을 했다는 함의가 담겨 있다. 스트레스는 인정받고 싶은 바람을 전달하고 있다. 소진되었다는 것은 자신의 약점들로 인해 생긴 큰 두려움으로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는 신호다.(p.76) 우리는 스트레스에 불평불만을 늘어놓지만 사실 곤경에 처했을 때 드는 감정느 두렴움뿐이다. 실상 존재하는 것은 비판에 대한 두려움, 해내지 못할 것에 대한 두려움, 갖고 싶던 어떤 것이나 성취나 무언가를 잃어버릴 것 같은 두려움, 사랑받지 못할 것에 대한 두려움, 누군가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두려움, 두려움, 두려움, 이 끝도 없는 두려움이다!(p.77)”

이젠 스트레스의 정체를 알았으니 본론으로 들어가 보자. 이 책이 제시하는 세 가지 영역은 다음과 같다. 사고(2장)에서는 끊없는 생각에 대해, 감정(3장)에서는 감정통제(감정사용법, 음악 등)에 대해, 신체(4장)에서는 몸의 기억(트라우마)에 대해 대처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먼저 사고(2장)에서는 머릿속 운전사가 몽키 마인드가 되어 끝없이 우리의 생각을 휘젓고 다니는데, 이를 방치하면 안 되므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얘기를 하고 있다. 생각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불행한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기 때문에 의식적인 사람은 자신의 관점을 달리하고 더는 쓸데없는 생각 속에서 헤매지 않는다. 감정(3장)에서는 감정통제에 대해서 말하는데, 모두가 자기만의 멜로디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즉,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음악을 듣거나 영화를 보거나 명상을 하거나 호흡 조절을 하거나 각자의 취향을 살려 스트레스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그것을 수용하는 자세이다. 신체(4장)에서는 몸의 기억(트라우마)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몸 안에 새겨진 기억의 흔적을 없애야 하는데 그게 그리 쉽지만은 않다. 심해지면 수면장애를 낳기도 한다. 해답은 우리의 몸 안에 있다고 한다. 우리는 긴장하면 저절로 몸을 떠는데, 이를 신경성 떨림이라고 한다. 다른 곳에 주의를 돌리지 않고 몸의 반응에 우리를 그저 내맡기고 긴장을 풀어낼 수 있다면 두려움, 압박, 긴장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스트레스에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우리는 스트레스를 통해 앞으로의 삶에 정신적으로 더 나은 방어 능력을 갖추게 되고 더 끈끈한 인간관계를 맺고자 노력하게 된다.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그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다양한 대처방안도 좋겠지만 무엇보다 수용하는 태도가 필요함을 절실히 느낀다. 이는 다른 방법보다 더 적극적인 스트레스 해결법이다. 아울러 이건 내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일이야, 하고 신의 힘을 빌리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인간인 우리가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없으므로. 마지막으로 역행은 금물이다. 순리대로 사는 길이야 말로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는 진리가 아닐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