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 - 고종 즉위부터 임시정부 수립까지
김태웅.김대호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 <항거: 유관순 이야기>라는 영화를 모처럼 아내와 함께 관람했다. 지루하다는 표현을 아내는 “감옥만 나오네”라며 한숨 섞인 목소리로 관람평을 일갈했다. 그런 아내와는 달리, 영화를 보면서 시종일관 눈시울을 적시며 가련함, 분노, 적개심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복잡한 감정이 일본하면 생각나는 갖은 부정적인 잣대와 함께 뒤섞여 내 머리를 혼란스럽게 했다. 그러고 나서 며칠 후,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라는 책을 보게 되었는데, 책의 목차를 보자마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막연하게 사극을 통해, 또는 학생 때 국사교과서를 통해 알던 흐릿한 기억이 전부인 나를 나무라듯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29개의 질문을 봤을 땐, 정말 머리를 한 대 얻어맞는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구성은 이렇다. 시간 및 시대별로 되어 있는 일반 역사책과는 달리 질문방식을 채택해 독자의 궁금증을 유발시킨 게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질문을 던졌으니 그 해답을 찾고자 한 장 한 장 읽다보면, 어느새 책의 중심부에 가닿는 신기한 체험은 물론이거니와 방대한 역사의 서사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한 저자의 의도가 시의적절함을 알 수 있다. 한 번 그 심연으로 들어가 보자.

먼저 이 책은 고종이 즉위한 1863년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까지, 50여 년의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사실 이 시기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그다지 많지 않을 거라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잘 모르는 점도 있지만 한국전쟁 이전 역사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거나 배워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은 격변시기를 겪었던 이 땅의 사람들이 도대체 무슨 생각을 했을까에 대한 의문을 다양한 시각에서 아주 구체적으로 설명해 준다. 또한 개항이 시작된 1860년대에서 대한제국시기를 거쳐 주권을 상실하게 된 1910년과 1919년의 3.1운동까지, 한국의 근대라고 불리는 이 시기를 치밀하게 다룬다. 즉, 한국 근대사는 강력한 힘의 논리와 그에 저항하는 움직임의 연속임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당시 한국의 지배계급과 지식인, 민중 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이 격동의 시간을 어떻게 경험하고 변화에 대응했는지, 외세의 침입에 국가는 어떻게 반응했으며 무엇을 우선시했는지, 일제의 경제·정치·문화적 침략에 우리 민중들은 어떻게 저항하고 무엇을 지키고자 했는지 다각도로 살펴본다. 한국 근대의 동학을 큰 그림으로 다루면서도 각 사건에 대해 새롭게 질문하고 대답함으로써 당대의 복잡성을 잘 드러낸다. 그리고 우리는 반세기를 겨우 넘은 이 짧은 기간에 왕조에서 제국으로, 민주공화국을 선포했지만 이 시기를 한국 근대사는 망국을 초래한 어둠과 아픔의 역사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 책은 “봉건과 외세라는 이중의 위기에 우리는 어떻게 대응했으며, 무엇을 이루려 했나?”라는 질문에 답함으로써 한국의 근대가 품고 있던 많은 가능성들을 최대한 드러내려고 노력했다. ‘조선은 왜 닫힌 빗장을 열었을까?(2장)’, ‘김옥균, 혁명가인가 반역자인가?(3장)’, ‘대한제국은 어떤 나라를 꿈꾸었는가?(10장)’ 등의 질문들을 던짐으로써 개방과 쇄국이라는 이분법적 사고, 당대 개혁 세력의 복잡성, ‘망국’이라는 결과로부터 소급하여 근대사를 바라보는 결과론적 사고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근대를 이해하는 폭넓은 관점을 제시했다.

29개의 질문에 답을 하면서 책을 읽었다. 책의 답변도 훌륭하지만 나 나름대로 정리할 시간을 가질 수 있었고 해답을 정리하면서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어서 평소 역사에 관심이 많은 독자의 한 사람으로써 많은 도움이 되었다. 역사는 흐른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실수를 반복하는 시시포스의 저주에서 벗어날 때가 됐다. 지금이 그 시점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