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의 회전 세계문학의 숲 6
헨리 제임스 지음, 정상준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사의 회전>은 유령을 다룬 소설이라 하기에 공포소설의 분위기를 자아낼 것이라 생각하고 이 책을 집어들었다. 하지만 예상했던 것과는 다르게 유령 출현의 혼란이나 두려움보다는 심리적인 묘사가 뛰어난 작품으로 유령은 그저 이야기에서 하나의 소재에 불과할 뿐이었다.

가정교사의 시점에서 유령이 자신의 귀엽고 사랑스러운 학생들에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노력하는 모습이 들어있는 이야기는 솔직히 유령이 실제로 나타난 것인지 아니면 그저 가정교사의 환상인지 모호하게 설정되어 있다. 뒷부분의 해설에서도 이 문제가 거론되고 있는데 내가 느꼈던 바로는 아무래도 가정교사의 환상이 아닐까란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이 좀 이상하게 보일 때도 있지만 직접적으로 유령을 봤다는 이야기도 없고, 무엇보다도 가정교사에게만 유령이 보이는 걸로 봐서 환상이 아닐까란 느낌이 들었다. 초반의 아이들은 그저 사랑스럽고 귀여운 모습으로만 그려지는데 후반으로 갈수록 모든 것이 그들의 꾸며진 가면의 모습이고 진실의 모습은 어두운 아이들일 거라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요즘엔 섬뜩한 공포소설들이 많이 나와서인지 사실 유령의 등장에도 그다지 섬뜩한 것도 없었다. 이 책이 출판되었을 당시에는 분명 좀 더 획기적이고 많은 관심을 받았겠지만 100년이 훌쩍 넘은 지금에와서 읽으니 사실 유령의 등장으로 인한 별다른 느낌은 없고 가정교사가 아이들을 유령으로부터 지키기위해서 고심하는 모습이나 시간이 갈수록 점점 내면에서 아이들에게 의심을 품는 등 심리적인 변화가 두드러진 작품이었다.

결말은 독자의 상상에 맡기든 열어놓은 채로 끝나버린다. 모든 것이 가정교사의 환상이었는지 아이들이 무언가를 숨기고 있었는지 정확한 결말은 알려주지 않은 채로 모든 것을 독자에게 일임해버린다. 상상할 수 있는 이러한 결말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내게 이런 결말은 그저 답답하기고 궁금하기만 하다. 아직까지도 쟁점이 계속 되고 있는 작품의 해석은 둘로 나뉘고 있지만 현재의 모든 유령 이야기의 영감이 되는 작품인 만큼 이 작품이 갖고 있는 매력은 상당히 큰 작품인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