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결 본능 - 호르몬이 어떻게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페터르 보스 지음, 최진영 옮김 / 시크릿하우스 / 2025년 3월
평점 :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집이든 학교든 직장에서든 상호의존을 하며 살아간다.
이것을 통틀어 인간관계라고 하는데, 인간관계와 뇌과학, 호르몬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는 책이 <연결본능>이다.
이 책에서는 우리가 삶을 통제할 수 없으며 타인에게 완전히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다는 전제를 시작으로 설명을 펼쳐 나간다. 호주의 한 호스피스 간호사는 죽어가는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그들이 가장 후회하는 것이 무엇인지 공유한 책을 썼다. 그들이 가장 후회하는 것 중 대부분은 인간관계에 관한 것이었다. 가족과 시간을 보내지 못한것, 감정을 충분히 표현하지 못한 것, 친구들과의 관계를 잃어버린 것 등. 이러한 사실로 보았을 때 우리는 관계로 설명된다. 이 책의 핵심은 인간관계에 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류.
이 책은 매우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지난세기 동안 사회과학 연구가 인간관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어머니의 역할이 전통적으로 어떻게 돌봄의 원형으로 여겨져 왔는지, 이러한 인식이 정당한지,우리의 뇌와 호르몬이 어떻게 관계형성을 가능하게 하는지를 알아본다.
그리고 부모가 자녀를 돌보는 데 필요한 생물학적 작용들이 어떻게 성인간의 관계, 연인, 직장 내 관계, 그리고 낯선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또, 스트레스가 우리의 관계와 생물학적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인생 초기의 혼란스러운 관계와 장기간의 스트레스에 대해 다루기도 하고, 인간은 각자 독특하다는 점, 생물학이 돌봄과 공감의 큰 차이에 미치는 영향, 유전학과 호르몬의균형, 이 모든것이 인간으로서의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주는지에 대한 질문을 다룬다.
한마디로 호르몬이 어떻게 작용을 해 인간관계를 만들어 나가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책이다.
내가 가장 재미있게 읽은 부분은 옥시토신 호르몬에 관한 것이었는데, 옥시토신은 엄밀히 말하면 호르몬은 아니지만 편의상 호르몬으로 취급해 말하는 사람이 많다. 2005년에 발표한 어떤 연구에서는 옥시토신을 투여받았을 때, 돈을 빌려 주거나, 중개인에게 돈을 쉽게 넘겨 주었으며, 돈을 돌려받을지 모른다는 점을 알면서도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증가했다고 한다.
이 물질은 언론에 의해서 평화를 가져다주고 인류의 모든 좋은 것들을 야기한 사랑의 호르몬으로 묘사되곤했다. 이 옥시토신은 출산과정에서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새끼를 낳고 모유를 생산하는 포유류에서만 발견된다. 옥시토신 시스템이 꺼진 어미쥐는 무능한 어미가 되는 반면, 엄마가 아닌 암컷 쥐에 옥시토신 주사를 하면 어머니같은 행동을 유발할수 있다고 한다.
또 땅다람쥐로 실험한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는데 옥시토신의 효과로 땅다람쥐들이 파트너와 결속을 맺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이것이 사회적 유대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다른 연구에서는 아버지들이 자녀와 놀기 전에 옥시토신 스프레이를 사용했을 때 아버지와 아이 사이의 상호 작용에 긍정적인 역할을 미쳤다고 한다. 옥시토신의 효과는 이미 텔레비전이나 다른 책에서 많이 언급되어 왔지만, 자세한 실험이나 연구에 대한 정보는 많이 없었는데, 이 책에서는 자료가 방대해서 많은 연구와 실제 예시가 많이 제시되어 있다.
이 책은 인간관계를 호르몬의 작용으로 설명한 책이다.모든 관계라는 것이 호르몬의 작용으로 설명이 된다는 것이 신기하기도 하고, 인간은 호르몬의 노예라는 말이 증명된 것 같기도 해서 인간의 몸은 재미있다는 생각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