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관찰 일기에 이어 도시 관찰 일기도 너무 재밌게 읽었다!
가장 행복했던 부분은 작가님이 성심당 빵을 되찾는 장면이었다.
기쁜 소식을 전하기 직전의 뿌듯한 표정, 너무 알 것 같다.
처음 만난 사람의 선의를 만날 때 마음이 따뜻해진다. 그리고 나도 다음에 선의를 베풀 용기를 갖게 된다. 세상은 이렇게 돌아간다.

여전히 자연 관찰(특히 탐조)을 하고 있는데,
계절의 흐름에 따라 새소리가 바뀌는 순간을 알게 되었을 때
새소리를 듣고 이름을 알 수 있게 되었을 때 여전히 짜릿하다.

모르는 것이 아직 있고,
여전히 호기심을 가질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즐겁다.
똑같은 세상이라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수많은 모습을 가질 테니까.
세상을 매일매일 새롭게 알아가는 건 무척 즐거운 일이다.
작가님의 관찰 일기를 읽고 내가 보지 못했던 세계도 알게되어 즐거웠다. 사람들의 창의력을 엿봤던 순간이 특히 그랬다.

세상을 미시적으로 바라보는 즐거움을 알게 되어 좋았다.

그러자 무표정이던 기사님 얼굴에 씨익 하는 미소가 떠오른다. 아니, 저 미소는? 나는 저 표정을 읽을 수 있다. 저 표정은 바로…..상대방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기 직전, 얼굴에 떠오르는 뿌듯함이다! - P78

관찰을 할 때는 나 자신이 중요하지 않다. 그것이 관찰의 핵심이다. 그러나 평소의 나는 나 자신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하다. 자꾸만 예전의 잘못과 아쉬운 점을 되새긴다. ‘나는 왜 그럴까?‘ ‘나는 왜 그랬을까?‘ 모든 게 ‘나는‘, ‘나는‘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관찰을 할 때는 잠시 나를 잊어버릴 수 있다. 내가 아니라 멀리 산꼭대기에 선 송전탑을 보고, 아파트 입구에 차단봉으로 눕혀놓은 쇠파이프를 본다. 그리고 그것들이 왜 있는지, 누가 이렇게 해놓았는지 생각한다.
관찰을 시작하면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고, 내가 아닌 것들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 P168

나는 이런 사람들과 한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것만으로도 희망은 충분하다. - P192

도시는 넓고 사람은 많다. 매일 밖에 나가 돌아오는 순간까지 수백, 수천 명의 사람을 스쳐 간다. 그 모두에게 지금까지 살아온 삶의궤적이 있고, 자신만의 세계가 있다니. 버겁고 또 벅차기도 하다.
관찰하지 않으면 결코 알 수 없다. 이 지구에 사는 사람의 수만큼,
관찰할 세계는 끝없이 많다. 역시 나는 아직 모르는 게 너무 많다. - P213

그렇게 이 도시 안에서 내가 아는 맥락을 넓혀간다. 이 도시는 드디어 ‘나의 도시‘가 된다. - P2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