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쟁이 열세 살 사계절 아동문고 59
최나미 지음, 정문주 그림 / 사계절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걱정쟁이 열세 살’을 읽고


아빠는 집을 나간 지 3년이나 되었다. 소식조차 모른다. 상우는 이제 6학년. 누나와 엄마는 아빠가 나가서 들어오지도 않는데 아무렇지도 않게 지낸다. 그런 것들이 상우를 우울하게 하고 근심하게 만든다. 자기만 정상이라고 생각하고 다들 비정상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면에서 완벽한 걸 좋아하는 상우. 수학문제처럼 답이 똑떨어지는 삶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평소에도 집에서 그런 걸 좋아하지만 아빠가 집을 나가는 바람에 모든 게 엉망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아빠만 돌아오면 정상으로 될 것 같은데 아빠는 돌아오지 않는다. 엄마와 누나는 철부지 같다. 매일 싸우고 다투고 울고 그러면서 아빠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학습지 교사인 엄마는 늘상 바빠서 집안일은 엉망이다. 저녁을 늘 라면으로 때우기 일쑤다. 엄마가 있을 때도 그렇다. 피곤에 찌든 엄마는 걸핏하면 운다. 아빠가 있을 때도 그랬다. 뭐하나 마음에 차는 게 없다. 그런 엄마가 상우는 싫다. 누나도 철이 없다. 말만 하고 뭐하나 제대로 하는 게 없다. 돈 없는 엄마에게 새로 핸드폰을 사달라고 한다. 그리고 변덕스럽다. 길에서도 집에서도 엄마와 누나는 늘 싸운다. 그런 것들이 상우를 복잡하게 한다. 그런 마음을 풀 길이 없었다.


마침 홈피 만드는 게 유행이라 상우도 유성우이라는 홈피를 만들었다. 거기서 만난 오폭별이라는 애와 대화를 한다. 비밀스런 속내까지도 다 말을 하고 지낸다. 누군지 몰랐기 때문에 아마 더 그랬는지 모른다.  학교에서는 별 탈 없이 지낸다. 수학은 일등인 상우는 집에서와는 달리 친구들과 놀기도 하고 수다도 떨고 장난도 치면서 보통아이처럼 지낸다. 아빠가 3년이나 소식두절이라는 사실은 말하지 않았다. 오히려 갯벌체험 숙제를 할 때 아빠랑 함께 한 걸로 써서 상도 받게 되었다. 사실 같은 반 석재라는 아이는 엄마가 안 계시다. 그런 고민을 상우에게 털어놓아도 상우는 자기가 갖고 있는 속마음을 솔직하게 털어놓지 못한다. 두려운 것이다. 비정상적으로 보일까봐. 오폭별이 같은 학교에 다니는 애라는 사실은 석재가 알려준다. 그런데 그 오폭별은 학교도 자주 빠지는 불량스런 아이였다. 그런데 어느 날 학교에 갔더니 자기에 대한 이야기가 다 알려진 것이다. 분명  오폭별이 그런 것이 뻔하여 그길로 오폭별에게 찾아가 복도에 걸린 상장액자를 내 동댕이친다 .아빠가 나간 지 3년이나 되었고 갯벌체험도 거짓으로 쓴 것이라는 것이 탄로 난 것이다. 그날 선생님도 알아버렸다. 게다가 석재는 그 모든 사실을 진작에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 얘기를 듣고 상우는 학교를 박차고 나왔다. 그리고 가출을 결심한다. 방학을 며칠 앞두고 말이다.


집에 와 홈피에 들어갔더니 게시판에 글이 하나 올라와 있었다. 누나 친구에게 온 안부 메시지였다. 그 바람에 아이들이 자기아빠에 대한 모든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오폭별이 소문을 낸 것이 아니었다. 놀란 상우는 미안했다. 하지만 오폭별은 화내지 않았다. 오폭별이 자주 학교에 빠진 것은 집에서  맞아서 그렇다고 했다. 가출도 해보고 했지만 다시는 자기 일로 나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알고 봤더니 오폭별도 무작정 문제아는 아니었다. 오히려 위로와 대화가 필요한 아이였다. 그동안 상우의 홈피에 와서 많은 위로를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생각도 바뀌었다고 했다. 우주가 그렇게도 큰데 자기는 너무 작은 면만 보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고 한다. 좁은 울타리 안에서 좁은 세계만 보고 좌절하고 절망하고 아파하기엔 세상이 너무 넓지 않느냐는 것이다. 보이는 게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다. 지금은 처해진 현실이 갑갑하고 고통스러울 수 있지만 그게 전부는 다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다. 상우는 희망을 갖는다. 그동안 보이는 것이 전부라고 생각을 하고 걱정만 앞섰는데 그래서 초초하고 아팠는데 그게 아닐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아빠가 있어야만 정상적이라고 생각을 한 것이다. 아빠의 부재가 생활 전체를 비정상적으로 만들었다고 생각을 한 것이다. 그래서 모든 것이 두렵고 버거웠다. 아빠의 빈자리를 자기가 채워야 한다고 생각을 한 것이다. 부담감이었다. 어린 것이 그동안 마음고생을 많이 했다. 할머니 말대로 상우는 4대독자였던 것이다. 책임감 중압감이 마음을 짓누르고 있었던 것이다. 가정을 지켜야 한다는.....엄마나 누나는 아빠가 없어도 그럭저럭 적응을 하며 지냈다. 그런 것이 상우는 비정상적이라고 생각을 한 것이다. 감나무만 쳐다보며 사는 엄마나 말만 그럴 듯하게 하며 지내는 누나나...모든 것이 걱정스러웠던 것이다. 그런 것들이 아빠만 돌아오면 해결될 거라고 믿었던 것이다. 그러나 아빠는 소식이 없다. 현실은 그게 아니었다. 상우는 가출을 하려던 마음을 접는다. 세상을 더 넓게 보자고 생각을 했다.


그러고 보면 애들이 너무 마음에 걱정들만 쌓아놓고 산다. 학교에서는 무조건 가족과 함께 하는 체험학습을 강조하고 누구라도 빠지면 일일이 캐묻고 그러니까 엄마 아빠 안 계신 아이들은 곤란한 것이다. 처지가 곤란한 아이들은 번번이 갈등에 놓인다. 그런 점들을 선생님이 헤아려주신다면 좋을 텐데 말이다. 요즘 아이들은 옛날과는 다르게 생각이 깊고 많이 한다. 아마도 매체 탓인 것 같기도 하다. 텔레비전도 많이 보고 책도 많이 보기 때문에 어른들처럼 생각이 많다. 그래서 놀란다. 애들이 애들 같지가 않은 것이다. 그런 아이들에게 왜 너는 애다운 생각을 안 하고 만날 어른들 하는 걱정만 하니? 할 수도 없지 않은가. 사실 어른들이 저지르는 일을 아이들은 예민하게 받아들인다. 정작 문제가 많은 어른들은 아무렇지 않게 지내는데 말이다.마음이 무뎌진 어른들을 아이들이 일깨운다. 아이들이 걱정근심 없이 마음껏 놀고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그게 최선일 것이다. 아이들이 스트레스를 받아서는 안 되겠다.  자꾸 아이들은 상처를 입는다. 가족들로 인하여 상처를 받는다. 그것이 문제인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제시한다. 좀 더 넓은 눈으로 세계를 보라고 말이다. 주위 눈치 보지 말고 자신이 생각한대로 믿고 행동을 하라고 말이다. 희망을 보여주었다. 지금 있는 이곳보다 더 넓은 세상이 기다리고 있다고 말한다. 지금 여기에서 주저앉기에는 너무 아깝지 않은가? 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