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들의 스캔들 ㅣ 창비청소년문학 1
이현 지음 / 창비 / 2007년 5월
평점 :
'우리들의 스캔들'을 읽고
중3 아이에게 읽어보라고 건넸더니,순식간(조금 과장된 표현이지만)에 읽었다. 어때?하고 물었더니 재밌다고 했다. 나도 재밌게 읽었다. 숨가쁘게 읽었다. 읽는 내내 차분하지 못하고 아이들 특유의 들뜸 때문에 나도 덩달아 마음이 들떠 있었다. 정리되지 않은 우울하고도 심각한 학교분위기라고나 할까. 호기심과 두려움, 패기만만, 불안감, 기대 등을 갖춘.
문득 읽으며 학창시절이 떠올랐다. 무언가 일이 터질 것 같은 묘한 분위기. 선생님의 몽둥이처럼 무서우면서도 살벌했던 시간들.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며 상황을 탐색하던. 난 연루되고 싶지 않았으나 어차피 단체에 속했던 그 때 그시절. 기합. 소문과 소문, 소문의 진상 밝혀내기 같은 일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던.
문제는 한꺼번에 몰려와서 어리둥절 하게 하였으나 좀처럼 사태는 잦아들지 않고 불처럼 일어나는데, 갈등과 갈등의 연속. 카페 블로그가 등장을 하여 문제를 일으키고 해소하고. 아직도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 폭력의 문제는 난해한 숙제같다. 몇몇은 참을 수 없어 학교와 잘못됨, 폭력에 맞선다. 옳지 못한 것에 대응을 한다. 선생님이라도 기꺼이.
무엇이 옳은 것인가. 한바탕 아이들은 진탕속을 다니다 빠져나온 느낌이다. 홍역을 치른 것처럼. 앓고 나면야 한층 성숙한 자아를 만나겠지. 그렇게 생각해야지. 시험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부모님들은 학교에서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야 전부 전학을 시키겠지만 말이다. 아이들 인생에서 더 값진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보라반 아이들은 분명 득이 되는 경험이었으리. 우리들의 스캔들이기도 하니까. 복병은 어디든 숨어있게 마련인가보다. 잘 해결하는 것이 상책. 지혜롭게 건강하게. 선생님으로서 또는 학생의 신분으로 살아가는 것이 여간 쉽지 않은 요즘 세상 잘 견뎌내기를...... 두루두루
*2008s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