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1학년 반올림 3
수지 모건스턴 지음, 이정임 옮김 / 바람의아이들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1학년’을 읽고 -수지 모건스턴 지음, 이정임 옮김, 바람의 아이들, 2007,8000.


초등학교라는 어리고 어린 티를 갖고 있으면서도 부쩍, 어느 순간 청소년이라는 이름을 달아야 할 때가 있다. 교과서도 옷도 한꺼번에 변하는 시기. 그래서 중학생이 된다는 건 설레기도 하면서 한편으로는 두려운 마음도 함께 존재하는 것 같다. 마음은 아직 어린 초등생인데 겉으로 차리는 형식은 어엿한 청소년이 되어야 하는 중학생이라는 이름이 그렇게 만든다. 그 시기가 그래서 우왕좌왕. 그러면서 마음이 부쩍 커버리는 시기. 교과서도 선생님도 학교 수업도 달라지는 시기. 변화의 시기. 누구나 다 거쳐 왔고 아직도 거치고 있고 또 거쳐 가야할 시기. 자연스럽게 혹은 유별나게. 

초등학교를 마치고 중학교에 들어갈 새로운 꿈에 부푼 마르고. 그러나 어쩌면 중학교에 들어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6학년 선생님의 말씀과 더불어 학교에 입학하는 첫날부터 겁을 먹는다. 그렇게 시작된 중학교 생활. 정신이 없지만 톡톡 튀는 순발력에 남들 하지 않으려는 반장까지 무엇이든 쉬지 않고 해보려는 마음 씀씀이가 학교생활을 적극적이고, 활발하고, 발랄하며, 명랑 쾌활하게 한다. 하지만 무엇이든 순조롭게만 진행된다면 무슨 재미인가.



마르고는 글쓰기에 소질이 있다. 그래서 글을 썼다 하면 장원이다. 머릿속으론 항상 쉬지 않는다. 생각이 끊임없이 돌아간다. 반아들과 친해보려고 반 성적을 올려보려고 시험도 커닝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그것도 나중에는 무력해 지는데, 공부도 잘하고 아이들과도 친하게 지낼 수는 없는 것일까 고민 한다. 그 뿐 아니다. 수학은 왜 하나, 국사공부는 ....등에 대해서도 생각한다.


집에서 마르고는 평범하다. 오히려 선생님들이 내준 과제나 문제에 대해 실제적으로 더 고민을 하고 연구를 하고 갈등을 한다. 이러면 어떨까 하는 자유로운 상상을 즐긴다. 그런 생각들이 마르고를 즐겁게 하기도 하고 한 곳에 머물지 않게 한다. 선생님들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들과 반감도 그대로 표출이 되고 그것은 재미있는 글로 나타난다. 사이사이 그런 글을 읽는 재미가 있다.


그래서 이 책을 읽는 동안도 쉴 틈이 없다. 시종일관 마르고의 뒤를 졸졸 따라다니게 만든다. 무슨 일이 있는가, 무슨 생각을 하는가, 잠시도 그 애의 곁을 떨어지면 안 될 것 같다. 그런 마르고를 따르는 일이 유쾌하다. 새로운 만남, 시간, 생각들, 문제들, 특히나 학교에서의 문제들이 적잖게 드러난다. 마르고가 학교라는 이름을 바꾸고 싶을 정도로 학교에 대한 생각이 깊다. 선생님들의 창의적이지 않은 수업들에 대해서도 슬쩍 내비친다.


마르고는 중학생으로서 꿈을 펼칠 기회를 공간을 꿈꾸는데 그만큼 학교가 뒷받침을 해주고 있는가를 생각하게 된다. 마르고의 즐거운 생각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그것이 학교의 현실이다. 아이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문제일 것이다. 처음에 갖고 있던 신선한 기대가 점점 갈수록 무너지는 것을 느끼지만 학기가 끝나갈  즈음 선생님께 감사의 인사를 담은 편지를 보내는 센스도 있다. 마르고의 꿈은 계속될 것이다. 왜냐? 푸르니까.


단어를 고르기 위해 찾았던 레이몽 크노의 시, 재밌는 단어장 만들기, 학교생활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설문지 조사, 선생님들의 성적평가도, 반 단합을 위한 선언문, 바람 목록, 반 최고들의 명단, 기행일기, 학교라는 주제로 열린 백일장 심사......등 정말 흥미 있는 소재들이었다. 문장들도 어찌나 통통 튀던지 열린 사고를 갖고 있는 아이들과 잘 어울렸다. 아이들은 정말 저마다 작은 열정의 씨앗을 담고 있다. 제목만큼이나 많은 것을 내포한 이야기였다.


*2007sj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