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VS 80의 사회 - 상위 20퍼센트는 어떻게 불평등을 유지하는가
리처드 리브스 지음, 김승진 옮김 / 민음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에 있던 영국인 프랑스인 미국인 그리고 한국인의 중상층 분류에 대한 우스개소리가 있었다. 그러면서 다들 그 글이 올라오면 댓글로 저는 어느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네요..한다. 난 솔직히 의아했다. 그 글이 올라온 카페는 지역적인 카페인데 대부분 그 지역에 살면 상위 20% 안에 들고도 남는다 (게다가 경제적 여유 뿐 아니라 그 카페글을 읽고 덧글 올릴 정도로 시간적 여유도 있는 회원들이 많았다.) 

그리고 경제적 문제, 교육 및 육아보조 관련 문제 등에 대해서 상위 1%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지적하면서 임대주택 거주자들이 자신들의 삶에 어떤 불이익을 미칠지 미리부터 걱정하는 모습들을 보이는 면에서도 우리들은(그렇다 이제 솔직해지자. 그들이 아니라 우리들이다) 위로도 아래로도 경계하는 어떠한 틀 안에 갇혀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들이 아닌 우리들을 인정하고 자칭하는 본 책의 저자 리처드 리브스는 우리나라로 치면 강남좌파라고 불릴 수 있다. 게다가 독특하게 영국인인데 영국의 계급사회가 싫어서 성인이 되서 자발적으로 미국인이 된 케이스다. 하지만 그가 미국인이 되고서 발견한 것은 미국에 더 은밀하지만 더 확고하게 굳혀진 계급사회가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는 보수주의자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적인 평등을 외치는 사회주의 좌파가 아니고 오히려 더 활발하고 건강한 경쟁적 사회를 보장하기 위해 기회의 평등을 주장하는 자유주의에 가깝다. 즉 평등을 위해 경쟁을 없애자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유경쟁을 위해서는 기회의 평등이 필수적이라는 입장이다.

 

그가 미국의 상위 20%가 자기들은 상위 1%와 다르다고 또 자기의 위치는 순수히 자기 능력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실은 상위 1%와 그 아래보다 상위 20%와 하위 80% 간의 격차가 더 심하게 고정되어 있다.) 계속 그들의 상위 20%를 유지하려고 사회 도처에서 순수한 경쟁을 오히려 억제하는 기회사재기의 방식들을 리처드 리브스는 파헤치고 아래에서 위로의 사회의 상향이동성이 있으려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하향이동성도 필요한 것이 수학적으로 당연한 이치인데 이를 계속 거부하면 사회는 고여서 썩는 물처럼 될 것이라고 한다. 이런 역진적인 방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산층이 자신이 능력만이 아닌 여러 유리한 (그리고 하위 80%에게 불리한) 편법 뿐만 아니라 합법적인 제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세습하려고 하는 것을 인정하고 자식들이 다소 손해 보더라도 이기심을 희생하고 그런 것에 대한 대책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책 씽크탱크 답게 양육, 교육(대입 전과 대입 및 인턴쉽 등), 토지 및 조세 등에 걸쳐 대책들을 제시한다.

 

이 책을 읽으며 나는 올해 초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를 읽으며 느꼈던 아쉬움을 돌아보았다. 토크빌은 훌륭한 사회학자이고 거의 예지자에 가까운 통찰력을 갖고 있었지만 시대의 한계 탓인지 미국(그리고 민주주의 세계가 전반적으로)이 갈수록 평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보았다. 그 외에도 흑인 및 여성 등의 인권의 미래에 대해서도 지나칠 정도로 낙관적이었다. 물론 그 시대에 비해서는 흑인 및 여성 평등이 좀더 나아졌을 지는 몰라도 토크빌의 오류도 많았고 무엇보다 그 당시에 비해 더 계급 간의 차이가 뚜렷해진 것도 있지 않은가 같은 책을 읽은 독서토론그룹이 되물었다. 토크빌이 민주주의 사회에서 위협받을 수 있는 자유의 fragility에 대해 너무 집중하다보니 평등(그냥 사회적 상태의 평등이 아닌 기회의 평등)의 fragility에 대해서 간과한 것이 아닌가 싶었다. 특히 독서토론이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인들 사이에서 진행된 것이어서 더 그런 의견이 많았을지도 모른다.

 

이 책이 물론 미국의 현 상황에 맞추어 쓴 것이긴 하지만 우리나라도 날이 갈수록 스카이캐슬이나 정재계인들의 자녀 입시비리 등 수시전형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있고 '그들만의 리그'에 대한 소외감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과연 '그들만의 리그'는 상위 1%만의 것인가.. 우리 또한 정말로 무상급식이 필요할 정도로 영양부족이고 우유값이 7개월 밀려 생활고로 자살하는 사람들인 사람들의 기회를 가로채가는 것이 아닌가. 여러 생각을 하게 만들어준 책이고 앞으로 한국에서도 이런 철저한 자료조사 및 다양한 방면의 대책을 한국 실정에 맞게 보여줄 책들이 나오길 바란다. 이제 누구 눈치를 보느라 현 제도 자체에는 문제는 없으니 좀더 부족한 점을 검토해보겠다고 말만 하는 정부의 이야기는 듣기 지겨우니까.

 

총평은 4점.

 반점을 깎은 이유는 유익하고 알찬 내용에 비해 책도 아주 짧고 작가가 유머감각이 넘쳐 쉽게 읽은 책이긴 하나 토지규제 및 조세 부분 등 경제적 분야에서 좀더 자세히 분석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였고, 그는 하향이동성이 어느 정도 있어야지 중상층이 불평등의 심화 문제와 대책에 더 관심을 갖게 될 것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맞는 말이다. 하지만 일단 그 하향이동성이 가능하게, 즉 중상층이 사다리 아래를 걷어차는 이기심을 희생하고 유리한 위치를 양보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두려워하는 하향이동에 대한 불안감(즉, 자신의 자녀들이 아래로 착륙하듯이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고통스럽게 추락하면 어떻게 될 지에 대한 공포심)을 받아들일 만한 사회 분위기가 어느 정도 조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guilt shaming만으로는 부족하다. 약간의 희생이 실제로 '약간의' 희생이 아니라 거대한 희생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어느 정도의 안심을 주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결국 이것은 닭과 계란처럼 어느것이 앞서야하냐의 악순환적 문제일 수 있다. 과연 이런 문제에 대한 씽크탱크 전문가의 해답은 무엇일까.

 

또 다시 반점을 더 깎은 이유는 편집의 문제.

몇가지 부분만 예로 들자면 그림3.2에서는 중위40%를 하위40%로 번역하고, 7장의 p.186에서는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하는 젊은 여성의 비율이 불법 마약을 경험한 비율을 훌쩍 넘어선다는 것을 볼 때"라고 번역했는데 원문은 그 반대다 (원문; When so many more young women are using illicit drugs than effective contraception) 이 외에도 오역이 많았는데 그것 때문에 원서로 다시 읽었다) 그 외에도 참고문헌에서도 엄청 오타가 많았는데 논문 편집위원의 직업병 탓에 이런 것에 민감한 나는 이 책이 재판될 때 꼭 이런 점을 주의했으면 좋겠다. (예: 7장의 참고문헌 17번은 작가와 제목은 맞는데 기사 날짜가 틀렸음. Feb 24의 기사는 다른 기사고 참고문헌의 기사는 March 12 기사이며 참고문헌 39같은 경우에는 제목에도 오타가 많지만 (coolege, lowrincome 등 참고문헌의 출처인 홈페이지 주소가 오타투성이..;;) 사람들이 대개 참고문헌까지 안 읽어보는 것도 문제지만.. (나는 nonfiction은 appendix와 reference가 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같은 경우는 번역이 적고 거의 그대로 복붙하면 되는데 이런 오타가 많은 것을 보면 정말 안타깝다.

 

참고문헌에서도 언급되었지만 비슷한 주제를 다루는 Robert Putnam의 Our Kids와 Richard Wilkinson, Kate Pickett이 쓴 The Spirit Level: Why Greater Equality Makes Societies Stronger도 읽어볼 만한 책들이다.

 

 

 

 

변화는 중상류층에게 비용 부담을 비롯해 무언가를 내놓도록 요구한다. 따라서 우리 앞에 놓인 가장 중요한 질문은 우리가 다른 이들의 기회를 확장하기 위해 약간의 희생을 감수할 의사가 있느냐, 아니면 마음 깊은 곳에서는 사다리를 걷어차고 싶어 하느냐일 것이다. - P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