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진기의 교실밖 인문학 - 소크라테스부터 한나 아렌트까지
최진기.서선연 지음 / 스마트북스 / 2016년 2월
평점 :
최진기의 교실밖 인문학_최진기,서선연 지음
이 책의 저자인 최진기님을 처음 접하게 된 건 경제 기사의 이해를 도와주기 위한 책에서 처음 접하게 되었다.
그 때 어려운 경제 용어나 신문 기사의 숨겨진 의미들을 쉬게 설명 해주었기에 좋은 느낌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인터넷 동영상으로 경제 관련 강의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정말 쉽고 재미있게 이야기를 풀어나가서 좋았다.
이번에는 인문학 관련 책이라서 조금은 의아한 생각이 들었다.
경제 관련 분야에서만 활동하는 분인줄 알았는데 인문학이라니...
그리고 한편으로는 어려운 인문학을 어떻게 쉽고 재밌게 이야기를 풀어 나갔을까? 라는 호기심이 생겼다.
책의 겉표지에 '소크라테스부터 한나 아렌트까지' 라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서양 인문학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밑에 '논술 세대 아이와 부모가 함께 읽는 인문 교양서'라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어려운 인문학을 쉽게 이야기 하고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든다.
이 책은 시간 순으로 서양 인문학의 변화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처음 '1장 생각의 탄생'에서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들을 쉽게 풀어 설명해준다.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인간관에 많은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왜냐하면 내가 과거에 생각했던 부분인 인간의 삶의 목적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한 인간의 삶의 목적이 같았다.
'행복하기 위해서'....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럼 행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라는 물음에 중용이라는 대답을 한다.
'중용' 간단하게 가운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치거나 너무 모자라지 않은 이성적인 생각의 삶을 이야기한다.
' 2장 근대를 열다'
베이컨의 경험론, 데카르트의 합리론, 홉스의 사회 계약설, 루소의 사회 계약설 등이 나온다.
신 중심의 사고 방식에서 인간 중심의 사고 방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인문학의 관점이 사회라는 영역에서 어떠한 생각들이 나오는지 알수 있다.
'3장 인간에 대한 새로운 발견'
다윈의 진화론, 니체의 허무주의, 프로이트의 무의식의 발견,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일까? 라는 부분에 대해 근대 사상가들의 생각을 알 수 있다.
더욱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든다.
'4장 생각의 전환'
제레미 리프킨의 종말 시리즈, 조지 리처의 맥도날드화,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 충돌론, 제인 구달의 자연과 공존하기, 제임스 글리크의 카오스 이론, 조지레이코프의 프레임에 대해 이야기한다.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물결 이후의 인간의 삶에 대한 사상가들의 생각을 알 수 있었다.
'5장 현대를 보는 날카로운 시선- 기억해야 할 진실'
존 롤스의 정의론, 장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에 대해 이야기 한다.
제 1차, 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간은 어떠한 존재인가? 에 대한 현대 사상가들의 생각을 알 수 있다.
이번 장에서 흥미있게 느낀 부분은 한나 아렌트가 이야기하는 '악의 평범성'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기본적인 책임이 있기 때문에 자신이 하는 일이 무엇이며 그것을 이성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이 책을 전부 읽고 난 느낌은 정말 쉽고 재미있는 인문학이란 느낌이 든다.
저자가 처음 부분에 이야기 해주는 것 처럼 인문학이라는 숲을 멀리서 보는 느낌으로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처음 책 표지에 적혀 있는 '부모와 함계 읽는 인문 교양서'라는 이야기가 딱 마음에 와닿는다.
자녀가 청소년이라면 부모와 자녀가 함께 읽고 내용과 관련하여 토론 해본다면 정말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