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메 그린다 - 그림 같은 삶, 그림자 같은 그림
전경일 지음 / 다빈치북스 / 2012년 9월
평점 :
전경일의 『그리메 그린다-그림 같은 삶, 그림자 같은 그림』을 읽고 나서 떠 오른 의문 하나. 예술가를 예술가답게 만들어 주는 필수 요소가 있을까? 그러니까 무엇이 한 사람을 예술로써 자신의 존재에 대한 증명을 하도록 몰아대는가? 예를 들어 시대와의 불화, 계급갈등, 신분차별 등이 내면에 잠자고 있던 예술혼을 깨워 그 모든 모순들을 넘어 그림에 매진하도록 하는 원동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적어도 조선의 화가들에게는 어느 정도 들어맞는다. 특히 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 1843∼1897), 최북(崔北, 1712∼1786), 연담 김명국(蓮潭 金明國, 1600∼?), 공재 윤두서(恭齋 尹斗緖, 1668∼1715), 이징(李澄, 1581∼?),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1707∼1769), 양송거사 김시(養松居士 金禔, 1524∼1593) 등, 조선의 각 시대를 힘겹고도 모질게 살아낸 화가들의 굴곡 많은 생애와 그것을 멀찍이 뛰어넘는 그들의 그림 앞에서 나는 시대와 예술가들의 극적인 화해를 본다. 이들은 천민이어서, 역적의 자식이어서, 서출이어서 라는 이런저런 이유와 이런저런 사건과 결부되어 사회적으로 매장되어 그 험난하고 질곡 많았던 시절을 견디며 모진 목숨을 살아야 했던 조선의 천재화가들이었다. 조선역사 500년 동안 얼마나 많은 사화(士禍)와 역적몰이로 수많은 선비와 인재들이 죽어야 했던가? 잘나고 지체 높은 양반이 끓어오르는 성욕을 절제하지 못해 첩을 얻어 그 첩에게서 태어난 서출들은 그것이 무슨 죄라고 숨죽이며 살아야 했던가? 천민이면 양반보다 어떤 점에서 열등하다는 말인가? 그 신분 계급은 누가 결정한 것인가? 권력의 맛을 먼저 맛 본 소수의 사악한 머릿속에서 나온 근거 없는 낭설이 아니었나? 엄격한 성리학적 신분사회인 조선에서 똑같은 사람으로 살 수 없었던 이들은 아웃사이더로 주변에 머물며 울분과 저항을 온 몸으로 하면서 그것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이들에게 예술은, 그러니까 그림은, 자신이 인간이라는 증명이자 그림 그리는 행위를 통해 권력자도, 양반도 넘어설 수 있는 일종의 자기방어 체계이면서 동시에 자기 존재의 적극적 발현이었다. 이들이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면 어떻게 그 비인간적인 세상에서 하루하루를 살 수 있었겠는가? 위안이 되는 것이 있다면 아무도 사화를 일으키고 역적몰이를 한 권력 당사자들에 대해서는 이름도 기억하지 않고 역사도 그들을 단죄하고 있는 반면, 이들 위대한 화가들은 이름뿐만 아니라 그 탁월한 작품들까지도 면면히 전해져 내려와 지금도 여전히 혼탁하고 모순 많은 세상을 살고 있는 현대 한국인들에게 크나큰 감동을 준다는 사실이다. 권력과 금력을 쥐고 있던 양반과 고관대작도 이들이 그린 그림을 소유하기 위해 갖은 수작을 다 부리는 모습에서는 비굴함마저 느끼게 된다. 특히 최북에게 그림을 그려달라고 했던 귀인이 그가 그림을 그려주지 않자 위협을 가했을 때 항거의 표시로써 스스로 제 눈을 찔러 애꾸가 되었다는 일화는 예술가로서의 자부심이 무엇인지에 대한 하나의 상징이기도 하다. 게다가 최북은 당대의 신분 높은 문사들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의 예술적 가치를 스스로 증명했다. 남인과 소론계 지식인을 포함해 영의정 남공철, 서평군 이요, 성호 이익, 이광사 등, 조선 역사에 이름을 남긴 사람들과의 교류는 최북의 높은 예술성을 증명하고도 남는다. 통쾌하다. 이들 위대한 화가들의 예술혼을 이제라도 현대 한국인 모두가 적극 향유하고 존숭하며 오래도록 전승해야 하지 않을까? 예술다운 예술도, 예술가다운 예술가도 더 이상 더 이상 태어나지 않는 지금(뛰어난 인재들은 모두 사화나 역적몰이로 3대가 멸족되었으니, 지금 살고 있는 우리는 무엇일까?), 이 땅에서 먼저 태어나 예술혼을 불태웠던 천재 화가들을 부디 잊지는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