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을 권함 기파랑 고전 명저 시리즈 6
후쿠자와 유키치 지음, 이동주 옮김 / 기파랑(기파랑에크리)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문이란 무엇이고 어디에 필요한 것일까? 학문이 순수성을 유지하기란 지난(至難)한 것인가? 학문이 대중의 계몽이라는 목적성을 지향할 때 과연 객관적 시각을 고수할 수 있을까? 학문이 특정 이념을 고무하거나 정치 체제를 옹호하며 이웃 국가에 대한 침략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전락할 때 그것을 학문의 본령(本領)이라 말할 수 있을까? 이것들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1835~1901)의 『학문을 권함』(學問のすすめ)을 읽는 내내 머릿속에서 맴돌며 쉬이 해답을 주지 않던 의문들이었다. 다 읽고 나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른 뒤 정리가 되었다 싶어 이 글을 쓴다. 먼저 저자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후쿠자와 유키치는 일본 개화기의 사상가이자 교육자로써, 그의 10대는 도쿠가와 막부가 봉건체제를 유지하면서 쇄국을 단행하고 있던 시절이었다. 그러다 1853년 미국에 의한 강제 개항과 1867년 메이지 정부가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근대화로 치닫게 되는데, 이후 일본과 관련 있는 동아시아의 근현대사는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격동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후쿠자와 유키치는 서양과의 과학기술 및 학문적 격차가 일본이 독립을 유지하는데 걸림돌임을 자각하고 일본 대중의 계몽에 일생을 바친 대표적 근대 지식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각과 삶의 자세에서 세상에 나오게 된 이 책은 저자가 고향인 오이타(大分) 현 나카스(中津)의 중학교 학생들에게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를 들려주고자 쓰기 시작한 글로 17편까지 계속되었고 이후 일반 대중들에게 까지 널리 읽히게 되었다고 한다. 위에 소개한 역사적 배경을 알고 이 책을 읽어 나가면 한국인은 필연적으로 일본제국주의의 한반도 침탈과 뒤 이은 고난의 세월에 이 책과 저자가 알게 모르게 기여한 사상적 연원에 분노할 지도 모르겠다. 실제 후쿠자와는 정한론(征韓論)과 탈아론(脫亞論)으로 일본이 제국주의로 들어서는데 일정 정도 기여한 부분도 있다. 정작 문제는 어떤 책과 그 속에 내재된 사상을 통해 계몽된 민중이 주체적인 자각 없이 시대적 분위기와 내부적 갈등의 요소를 해결하고자 외부로 눈을 돌려 침략과 전쟁에 내몰리게 된 상황 인식의 결여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 책에서 주장하는 저자의 학문과 사상은 그 자체로 근대 일본 지식인의 시야의 한계와 시대적 요청에 답하는 수신서로서의 기능에 충실하다. 서양보다 모든 면에서 낙후된 일본의 사정을 똑바로 인식하고 서양을 적극적으로 배워 언젠가는 그들을 넘어서자는 주장은 당시로서는 당연한 귀결이었을 것이다. 그것이 비록 서양으로부터 배운 제국주의적 심성까지 일본화 하여 조선과 아시아 각국을 침탈하고 잔혹하게 지배하며 학살을 자행했던 그들의 과거가 아직도 현재진행형인 한국에서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그들만의 논리일지라도 말이다. 따라서 위에서 던졌던 몇 개의 질문들은 과연 학문의 본령과 순수성이 여하히 유지될 수 있는가 하는 점에서 『학문을 권함』이라는 책은 오직 일본인에게만 유효한 영속성을 갖는다. 또한 현대 일본인들이 이 책을 어떻게 읽을 지 경계하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지금 일본의 행보를 생각해보면 역사의 맹목적 반복이 결코 예사롭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의 정신 - 세상을 바꾼 책에 대한 소문과 진실
강창래 지음 / 알마 / 201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역할은 무엇일까? 책이 어떤 한 시대의 극적인 사건에 지적 토대가 될 수 있는가? 예를 들어 프랑스 대혁명의 불꽃을 지핀 책이 장 자끄 루소의 『사회계약론』이라고들 말하는데 과연 그럴까? 『책의 정신』(부제: 세상을 바꾼 책에 대한 소문과 진실)은 오히려 포르노 소설과 연애소설이 프랑스 대혁명의 뿌리라고 주장한다. 신분과 계급의 벽 앞에서 좌절하는 연인들의 이야기를 많은 프랑스 민중이 읽고 그것을 통해 평등과 자유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게 되었으며 그것이 절대왕정을 무너트리는 큰 힘이 되었다는 말이다. 이렇듯 『책의 정신』은 저자의 박학다식한 필치로 한 치의 흐트러짐 없이 어떤 특정한 책이 한 사회와 그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영향, 그리고 그로 인한 사회적 파장을 많은 인용과 분석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 책 역시 광범위하고 꼼꼼한 독서의 산물이므로, 오직 독서만으로 인간과 역사, 인간과 사회, 인간과 종교, 인간과 과학 등의 관계에 대해 깊은 이해가 가능함을 증명하고 있다. 이 책의 내용 모두가 그간의 잘못된 상식 또는 오류에 대해 올바른 인식의 길잡이로서 기능하고 있지만, 특히 제 2장 「아무도 읽지 않은 책」과 제 4장 「객관성의 칼날에 상처 입은 인간에 대한 오해」가 몹시 흥미진진했다. 또한 저자의 독서법은 조선 선비들의 그것처럼 대단히 치밀하고 절대 서둘러서 결론을 내리지 않는 격물치지(格物致知)의 방법을 실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에 대한 방법론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 듣기 좋은 소리 - 최영도 변호사의 황홀한 클래식 편력기
최영도 지음 / 학고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래식이란 무엇일까? 단순히 오래된 것을 지칭한다기보다, 시간의 마모를 견디어내고 수많은 세대의 평가를 받아 정전(正典)으로 여겨지는 인류 정신의 고갱이가 클래식이라 하겠다. 따라서 특히 클래식 음악을 감상할 땐 대중가요를 들을 때와 전혀 다른 자세로 접근해야 한다. 작곡가의 정신적 고뇌만큼은 아니어도 최소한의 깊이와 지성은 필수다.

최영도 변호사가 쓴 『참 듣기 좋은 소리』는 클래식 음악 듣기를 매우 적극적이고 즐겁게 편력해 온, 극히 개인적이고 행복한 기록이다. 따라서 클래식 음악을 어느 정도 즐겨온 사람이라면 자신의 경험과 상통하는 저자의 클래식 사랑에 저절로 웃음이 나올 것이다. 클래식 음악에 대한 주관적 해석을 이토록 솔직하게 드러낸 글도 드물다. 그러면서도 음악 하나하나에 대한 애정이 듬뿍 묻어나는 ‘타인의 취향’의 대단히 흥미로운 모범이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벌레들의 동서고금 종횡무진 - 책에 살고 책에 죽은 책벌레들의 이야기
김삼웅 지음 / 시대의창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역사에 이름을 남긴 사람들의 대부분은 무엇보다도 독서인이었고, 방대한 독서를 통해 결국엔 역사에 길이 남을 글을 썼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수많은 작가, 사상가, 역사가, 철학자, 과학자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전부터 이미 책벌레였던 것이다. 다양한 분야에 걸치는 남독(濫讀)을 통해 경직되고 획일적인 시각을 일찍부터 뛰어 넘어 세계와 인간, 우주와 사물의 본질로 육박할 수 있었다. 그로부터 전설이 태어났다. 독서가 인간의 삶을 바꿀 수 있을 때 더 이상의 전설은 불필요하고 무의미하지만.

진보적인 삶을 살아 온 김삼웅 선생의 막대한 독서력을 증명하는 『책벌레들의 동서고금 종횡무진』은 광범위하고도 철저한 책읽기와 그 몇 배에 이르는 성찰의 산물이다. 제목그대로 동서고금의 이름난 독서인들의 일화와 그들이 남긴 독서론, 독서술, 인생론, 시, 시평(時評)들이 빼곡하다. 이 책 한 권만 정독해도 당장 내 눈 앞에 산적한 문제들의 거의 모든 해답을 구할 수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은 모두 똑같고 변하지 않는다는 깨달음이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넘기는 순간 머릿속을 스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뒤러 : 인문주의 예술가의 초상 마로니에북스 Art Book 7
스테파노 추피 지음, 최병진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탈리아의 미술사가 스테파노 추피가 쓴『뒤러-인문주의 예술가의 초상』를 다 읽고 나서 떠오른 첫 번째 생각은 예술가의 사회적 책무에 관한 것이었다. 예술이 단순히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연주하는 행위 그 이상을 추구하는 공공선이어야 한다는 것. 이런 면에서 알브레히트 뒤러는 예술가 이전에 지성인이었고, 그 지성으로 자연과 인간의 본질을 꿰뚫어 지극히 객관적으로 보고자 했던 관찰자였으며, 자신의 자아를 철저히 파헤쳐 저 밑바닥에 웅크리고 있는 광기와 음험함을 억누르고 시대의 급격한 흐름과 극적 변화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을 지키려 했던 시대의 증언자였다. 알프스 이북의 르네상스를 주도했지만 늘 겸손했고 , 중세의 기독교적 신념과 모호한 시대정신에 충실했지만 한편으로는 늘 고뇌하면서 자신의 한계에 직면하여 극단적으로 가능성을 탐구했던 뒤러의 삶은, 예술가 이전 한 불완전한 인간으로써 사회 속 조화의 가능성에 방점을 찍고자 노력했던 시대의 선구자의 그것 이었다. 나는 특히 뒤러가 그린 자화상을 좋아한다. 헝가리 출신 금세공사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자신을 스스로 지성인이라 규정하고 마치 예수처럼 자신의 모습을 섬세하고 지혜롭게 묘사한 그 작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