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춤추는 목욕탕
김지현 지음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얼마 전 독서 치료 모임에서 상실감에 관한 책을 읽었다. 그 책에 슬픔이란 상실에 대해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반응이라고 쓰인 것을 보고 많은 위로를 받았었다. 그 책에서는 압박감, 무기력, 스트레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또는 집중력 결핍 장애, 우울증 등은 상실감에 잘 못 붙여진 명칭이라고 한다.
김지현 작가의 [춤추는 목욕탕]에는 어느 날 갑자기 닥친 상실감을 어쩌지 못해 위에 열거한 여러 가지 증세에 시달리는 세 여성이 등장한다.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실은 우리를 얼마나 미치게 하는가.
어느 날 갑자기 남편을, 아들을 그리고 사위를 잃은 세 여인. 그녀들이 인생을 살면서 겪은 상실이 비록 지금이 처음은 아닐지라도 그녀들은 매번 처음인 것 같은 슬픔에 비명조차도 지를 수 없다.
[미안해, 네, 얘기를, 오래 듣지 못해서.
미안해, 너의, 침묵을, 오해해서.
미안해, 혼자, 살아남아서] (248쪽)
[의견이 갈릴 때마다 굳어지던 그 얼굴. 화가 났던 게 아니라, 외로웠던 거야?] (205쪽)
우리는 살면서 얼마나 많은 이야기들을 다음으로 미루면서 미처 하지 못하고 지나쳐 버리는지. 어느 날 문득 정신을 차려 보면 이제는 너무 늦어버린 때임을 느끼게 된다. 가까이 있어서 소중함을 잊고 지냈던 사람들. 늘상 습관처럼 어제도 내 곁에 있었으니 내일도 그러하리라는 착각 속에서 들어주지 못했던 이야기들. 그래서 [춤추는 목욕탕]의 인물들은 이구아나를 허벅지에 달고 다니고, 끊임없이 사과를 깎으며 벌겋게 달아오른 얼굴을 껍질이 벗겨져라 때수건으로 박박 닦아댄다.
김지현 작가의 약력을 살펴보니 1975년생이다. 늙지도 어리지도 않은 어중간한 나이. 그 어중간함의 세월에서 어찌 이리도 인생의 깊이를 잘 잡아내는지 경탄스럽다. 이제 김지현 작가의 소설집 [플라스틱 물고기]로 옮겨가 볼까 한다. 단 2권으로 시작하는 김지현 작가의 전작읽기를 시도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