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이자 공부 컨설턴트 한재우 작가님의 <혼자하는 공부의 정석> 그리고<서울대는 어떻게 공부하는가>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 그간의 멘토링과 전국 시도 교육청 및 학급, 기업체에서 강연한 내용들을 기반으로 <공부의 힘>이라는 물리적으로는 다소 가벼운 느낌이지만 그 담은 무게는 가볍지 않은 ’필사책‘으로 출간되었다.




공부는 왜 하는가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수많은 세대와 사람들 개체수만큼 다른 질답이 있겠지만, 이 책에서는 특히 10대에게 하는 기본, 태도, 기술, 자신감에 대한 질답을 소개한다. 공부가 힘든 것은 몸이 아니라 마음이 힘든 것이다. 우리나라 입시환경에서는 특히, ‘마음의 힘’에서 승부가 결정난다는 기승전-멘탈 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 이 책은 쉽게 포기하지 않는 마음 지구력에 대해 마음의 힘에 대해 생각하고 발전시켜야한다는 뜻.


어떤 학습지처럼 이 책의 구성과 활용이 나오는데, 글의 주제로 저자의 글이 왼쪽에, 오른쪽 지면엔 관련 명언을 엄선해 수록했으며, ’마음에 새길 수 있도록 필사‘ 하단에는 <오늘의 질문>으로 자신의 공부에 대한 경험이나 느낌을 적을 수 있다.


공부도 다른 모든 일처럼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 하는 ‘주도학습’ 이 중요한 것은 진리이며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성공은 실패가 쌓여 처절하고 지난한 고통 속 훈련을 통해 이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진리도 살아있는 전설로 여겨지는 셀럽이 이야기하면 신빙성을 가진다.

나는 살아오면서 계속 실패를 거듭했다.

그것이 내가 성공한 이유이다.


오늘의 질문. 실패했지만 계속 하다 보니 성공에 도달한 경험이 있는가? 나는 입시를 할 당시, 선생님이나 선배들처럼 그림을 특출나게 잘 그리고 싶었다. 타고난 재능이 없어 시간과 노력이 배로 들었지만 결국에 원하는 목표에 살짝 못미치는 결과를 받고 처음엔 성공하지 못했다는 생각에 괴로웠다. 그러나 절망하기에 국내 유수의 대학이며 누구나 아는 곳에 합격했기에 완전한 실패는 아니었다. 인생에 처음 겪어보는 실패에 좌절할 것이 아니라, 최선을 다한 일에 결과에 대해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일도 중요하다는 깨달음을 적어본다.

40대 중반을 넘어선 나이에 내 경험을 써넣다보니 부끄럽긴 하지만, 과거를 돌아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좋았고 내 딸들이나 아들도 이런 질답을 하면서 자신의 공부의 이유와 태도를 그리고 기술과 자신감까지 얻을 수 있다면 어찌 이 책을 일권하지 않겠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