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테리어 - 운이 좋아지는 집 인생이 달라지는 인테리어 운 시리즈
박성준 지음 / ㈜소미미디어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풍수Fengshui 전문가라 해서 나이 지긋한 분인 줄 알았다가 방송으로 낯익은 작가분이라 반가웠다. 운과 인테리어가 어떤 관계가 있다는 말일까?

제목만 봐도 잘 지었네! 운.테.리.어!!!

스토리텔링이 제대로 나올 것 같은 제목이 아닌가 싶었다.


 

건축을 전공한 분이어서 건축의 외부와 내부를 세심하고 심도있게 관찰하고 인간과의 연관성을 나름 연구하신 흔적이 보이는 목차와 제목들이다.

현대적으로 읽어내는 사람과 공간의 기운이란?

물론 저자는 역술인으므로 사람의 생년월일시와 관상을 받아 운을 풀어주는 일에도 정통하지만 인테리어를 접목시켜 풍수를 논하는 책을 냈고, 인테리어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언젠가 mbc무한도전에 나오셔서 그 특유의 썰로 시선을 잡아끌었던 분이라는 기억이 났다.


음양의 기운과 오행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균형 잡힌 공간을 만드는 것이 풍수이다.

 


오행의 상생과 상극으로 이해하는 순환의 이치를 공간에 적용할 수 있다?

어떻게 한다는 것일까? 집에 존재하는 것들이 모두 오행의 기운을 갖고 있다는 말인가?

그렇다, 저자는 타일, 목재, 조명 심지어 전자제품까지 모두 기운을 갖고 있어서 기능적으로 공간 속에 배치를 하고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말한다.


풍수인테리어라는 것은 내부 공간의 형태를 디자인하고 그 안에 생기를 불어넣는 작업이다. 그 생기를 불어넣기 위해서는 전제가 공간에 여력이 있어야 한다.

요즘의 문화생활의 화두는 미니멀리즘, 여기서도 저자는 '비우기'의 중요성과 과정을 알려준다.

쓰지 않는 물건 버리기/ 남아 있는 물건들의 정리정돈/ 청결상태를 유지하며 채광, 통풍, 환기가 잘 되게 한다.

이사하기 위해서 이사짐을 정리하며 한달 동안 머릿속에 들어있던 생각을 여기서 접하니,

이 책이 이사오고 나서도 맥시멀리즘으로 물건을 살 때마다 도움이 될만한 지침이 될 듯하다.


 

물과 불의 기운, 두 상충하는 것이 만나는 곳이 주방이다. 싱크대나 찬장 등의 가구는 되도록 나무 자재를 사용하고 공간의 여력이 된다면 싱크볼과 인덕션의 위치는 최대한 멀리 있게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리고, 화장실은 음이기 때문에 양기로 채워야 하는데, 집의 현관처럼 밝게 하고 환기와 통풍에 신경써야 한다.

외부의 기운이 들어올 때 화장실이 가까우면 안좋은데 기운이 모이는 집의 중심에 있으면 안좋다는 것이다. 우리 집은 안방에 딸린 화장실과 현관을 들어오면 방들이 보이고 돌아서 들어가는 화장실 구조라 꼭 거칠 필요가 없는 위치라 다행이다.

현대 주택 형태 중 아파트와 맞먹게 1인 가구의 원룸 형태가 흔하다. 원룸의 풍수라는 것은 적용이 되는 것일까. 원룸을 위한 라이프, 풍수 팁도 알려주신다.

침대 위치, 현관 맞은 편 창문 앞 관엽식물을 둠으로써 기운을 머물게 하고 책장, 수납장을 가벽처럼 활용하여 공간을 분할하라.


일상의 공간은 평범하고 소박하여 싫증이 나지 않으며

나와 가족의 삶에 아우성 없이 늘 지지해주는 인테리어여야 한다.


집의 중심 -거실

에너지가 모이고 합쳐지는 자리로 깨끗하고 미적으로도 아름다워야 가족의 건강과 화목이 가능해진다고 한다.


 

풍수를 공간과 마음에 잘만 사용한다면 건강이나 재산, 명예나 직장생활, 사업문제, 결혼,가족관계나 인간관계와 같은 기본적인 삶이 더 편하고 행복해질 수 있다니,

환경을 바꾸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운테리어

#박성준 #역술 #인테리어

#풍수인테리어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