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생애 마지막 그림 - 화가들이 남긴 최후의 걸작으로 읽는 명화 인문학
나카노 교코 지음, 이지수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6년 6월
평점 :
그림이란 것, 나에겐 늘 어렵다. 미술관에 가는 것도 좋아하고 그림을 보는 것도 좋아하지만 딱히 어떠한 부분이 어떻게 좋냐고 물어본다면 대답할 게 없다. 왜? 모르니까. 이러이러한 이유로 좋습니다라고 명쾌한 대답을 할 수가 없다. 그래서 늘 그림에 대해 공부하고 싶었고 또 공부를 하기위해 여러가지 시도를 해 보았으나 그게 영 쉽지가 않았다. 그림은 나에겐 늘 어려운 것, 친해지기 힘든 것이었다. 심지어 초등학교때부터 교과에 미술이란 과목이 있어 책에 그림과 화가에 대한 설명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게 누구그림인지 그 화가가 누구인지조차 기억하기란 쉽지 않았다. 나름 공부를 열심히 하다가도 이런 생각이 들곤했다. 예술이란 분야를 이렇게 학문 탐구하는 방법으로 접근하는게 과연 옳은 것일까. 옳고 그름을 따질 문제는 아니지만 그게 스스로 영 내키지 않았던 것 같다. 그러면서도 한 편 그림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을 보면 또 내심 부러웠던게 사실이다. 그렇다면 공부를 하긴 해야 하는데 어떤 방법으로 해야할까, 그 방법을 찾는 것 조차 어려워 거의 포기 수준으로 시간을 보내던 중 우연히 알게 된 이 책.
책의 표지엔 '화가들이 남긴 최후의 걸작으로 읽는 명화 인문학' 이란 글귀가 보인다. 이 책은 대단한 그림에 대한 딱딱한 설명이 아닌, 화가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의 이야기까지 엿볼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이 책은 시대별로 그림이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또 어떤 화가들이 존재했는지, 그들이 작품을 통해 무엇을 표현했는지 담고 있다.
우리가 자세히는 몰라도 들어보기는 한 유명한 화가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내가 책을 보자마자 가장 먼저 찾은 건 바로 고흐. 차례를 보니 역시나 있었다. 빠질리가 없지. 난 원래 고흐의 작품은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그림체가 뭐랄까 너무 강한 느낌이라 -그가 귀를 잘랐다는 이야기에 이미 그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
그런데 그의 이야기를 듣게 된 순간부터 마음이 조금 달라졌다. 달라진 정도가 아니라 좋아지기 시작했다.
처음으로 그의 이야기를 제대로 접한게 바로 뮤지컬이었다. 그저 그림그리다 미쳐버린 사람이 아닌 얼마나 슬픈 사람인지 알고나니 그의 작품을 보는 내 눈도 달라졌다. 그 후 서울에서 했던 미디어아트 전시도 찾아가 보고...
그럼에도 뭔가 조금 아쉬웠는데 이 책에서 보니 어찌나 반갑던지.
그저 '우울하다'정도로 느꼈던 그의 작품 '까마귀 나는 밀밭'도 이 책에서 설명을 덧붙여주니 더욱 마음에 와 닿는다.
이 책은 마치 미술관에서 도슨트에게 그림 설명을 자세히 듣는 느낌을 갖게 한다.
시대 흐름에 따라 화가와 작품 설명을, 누군가 옆에서 조곤조곤 이야기 해주는 것 같다.
오랜만에 소장하고 싶은 책을 만났다. 책장에 오래오래 두고 싶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