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식에 담아낸 인문학 - 상식의 지평을 넓혀 주는 맛있는 이야기
남기현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세상에는 수없이 많은 음식들이 존재하고 우리는 일생을 사는동안 그 많은 음식을 모두 맛보지 못한채 죽는다. 존재하는 음식의 10분의1이나 먹어볼 수 있을까? 워낙 다양한 음식이 존재하다보니 그도 힘들거라 생각된다. 한국에서는 몇년전부터 맛집 열풍이 불었다. 지금도 맛집에 대한 정보를 다루는 TV프로그램이 넘쳐나고 맛있는 음식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 채널을 돌릴때마다 눈길을 끌곤 한다. 그에 따라 쉐프들의 인기도 오르고 있고 그들을 모델로 한 CF도 종종 볼 수 있다. 그만큼 사람들이 '음식'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증거 아닐까.
나도 친구들과 종종 맛집이라고 소문난 곳들을 찾아다니고 또 음식의 맛을 통해 소소한 즐거움을 느끼기도 한다. 사실 음식을 먹는 것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본 적은 없는데 이 책은 참 흥미롭게 느껴졌다. 그저 '맛이 있다, 없다' 혹은 '몸에 이롭다,해롭다.' 정도로만 생각했지 그 음식의 기원이나 그 깊은 이야기는 단 한 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것 같다.
책을 훑어보니 내가 좋아하는 메뉴들이 몇 가지 보인다. 냉면, 초밥, 뷔페까지... 사실 많이 먹을 수 있는 대식가는 아니지만 뷔페에 가서 여러가지 음식을 종류별로 맛보는 것도 좋아하는 편이다. 이정도면 나도 음식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일텐데 왜 그간 아무생각없이 먹기만 했을까? 어떤 음식을 먹을까, 메뉴를 보고 고민하는듯한 마음으로 책을 펼쳤다.
책을 읽어보니 평소 별로 좋아하지 않던 음식도 먹고싶어지고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음식도 궁금해진다. 초당순두부, 떡국, 수제비처럼 그저 흔하게 생각했던 음식들이 특별하게 보인달까. 식사라는 것, 음식을 먹는 다는 것이 때로는 귀찮은 일로 다가올때도 있다. 메뉴를 고민하는 것이 귀찮아서이기도 하지만, 바쁠때는 그저 끼니를 떼우는것에 지나지 않다보니 음식을 먹은 후 '괜히 먹었다.'는 생각이 들때도 많다. 그런데 책을 보고나니 조금 반성하게 된달까?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먹는 즐거움도 꽤 크다고 했다. 음식을 먹는 일에 조금 더 의미를 두고 그 시간을 보낸다면 좋지 않을까. 메뉴를 정할때 '아무거나'혹은 '대충 이거나 먹자' 라는 생각보단 '오늘은 특별하게 이것'으로 정하는 것하는 게 필요할 것 같다.
책을 읽다보니 가보고 싶은 가게들이 생겨났다. 그곳에 가면 책의 내용이 한 번 더 생각나지 않을까?
음식을 먹는다는건 단순히 고픈 배를 채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 것 같다. 재미있는 건 이런 '맛있는 책'을 읽는 지금 난 위염으로 식사를 거의 못하고 있다. 먹고싶은 음식은 많지만 겨우겨우 참고 있는 중이다. 지금 당장 친구들과 맛집 탐방에 나서고 싶지만 말이다.
병이 다 나으면 이 책에 나온 음식들을 차례로 맛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