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패션 읽어주는 여자 - 자신만의 패션 스타일 찾는 법
민지혜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3월
평점 :
패션에 관한 책은 언제봐도 즐겁다. 꼭 내 전공분야라서가 아니라 여자라면 패션에 관심 있는 건 당연한 거니까...(무조건은 아니겠지만;)
핫핑크와 블랙이 조화를 이루는 책 표지가 참 매력적이다. 가끔 표지가 별로인 책들을 보면 손이 잘 안 가게 되는데, 이 책은 표지부터 패셔너블하다. 표지를 보니 '자신만의 패션 스타일 찾는 법'이라 쓰여있다. 자신만의 스타일이라... 순간 뜨끔했다. 나름 패션 쪽에 관심이 많고 공부를 해온지 오래되어 그래도 일반인들보다는 패션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고 자부하는 내가 정작 나만의 스타일은 아직 찾지 못했기 때문에. 난 정말 나에게 맞는 최고의 스타일을 잘 모르겠다. 이 책을 읽으면 나도 스타일을 갖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찬찬히 살펴보기로 했다.
시작은 명품에 관한 이야기다. 그렇다, 패션을 논하면서 어찌 명품 얘기를 빼놓을 수 있으랴. 난 간혹 "명품 좋아해."라고 말하는 이들에게 당신 기준의 명품이 대체 무어냐 묻고 싶다. 무분별하게 유명한 브랜드 상품이라 좋다, 라든지 비쌀수록 좋다라고 생각하는 건 분명 잘 못된 것이다. 누군가 나에게 명품 좋아하느냐고 물어보면 나는 이렇게 답한다. "명품이라서 좋아하는 게 아니라 내가 좋아하는 것들 중 명품에 속해 있는 것도 있다"라고. 솔직히 명품이라고 다 예쁘진 않으니까, 별로인게 더 많으니까. 명품이라면 다 좋다는 사람들은 패션을 즐기는 게 아니라 그저 사치를 부리고 자기 허영심을 채우려는 것밖에 안된다고 본다.
명품을 떠올리면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짝퉁"에 관한 이야기다. 책 속에서도 짝퉁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어떤이는 그것이 그 브랜드의 로고가 없다면 '진품인 척'하는 게 아니니까 짝퉁은 아니다, 어차피 브랜드 디자이너들도 다 누군가의 디자인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것이지 않느냐, 이것은 비싼 것을 저렴하게 구매하는 합리적인 소비라고 말했단다.
디자이너들이 들으면 참 화날만한 말이다. 디자이너들이 어딘가에서 영감을 얻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모티브로 삼는 정도이지 완전히 베끼는 것은 아니다. 영감을 얻어 새로운 창작품을 만드는 것을 표절과 같게 취급하는 것은 곤란하겠다. 로고를 달지 않았어도, 혹은 다른 로고를 달았어도 누가 보나 이건 A 브랜드의 oo 백과 똑같다는 생각이 들면 그건 이미 '짝퉁'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모 브랜드가 외국 브랜드의 가방디자인을 대놓고 따라 했다가 소송에 걸려 패소한 사례도 있다. (상표는 자신의 회사 상표를 달았다.) 디자인은 어디까지나 디자이너의 '지적 재산물'인데 그걸 도둑질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과연 합리적인 소비일까? 분명 다시 생각해봐야 할 문제이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떳떳지 못한 짝퉁까지 사는 걸까? 이유는 단 하나, 그게 좋아 보이니까. 그렇게 해서라도 나의 스타일을 돋보이게 하고 싶어서이다. 그런데 그렇게 명품(혹은 명품처럼 보이는 짝퉁)을 휘감는다고 해서, 나의 스타일이 좋아 보일까? 절대 아니다. 저자는 말한다. 무조건 비싼 제품이 좋은 스타일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저렴한 제품으로도 얼마든지 값어치 있어 보이는 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자신의 스타일을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출을 하고 늘 새로운 시도를 하며 '패션 테러리스트'가 되라고 말한다.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는데에도 노력이 필요하다. 연예인 누구의 스타일만 백날 따라 해봤자 나만의 스타일은 죽을 때까지 찾지 못할 것이다. 저자의 말처럼 끊임없이 새로운 스타일에 도전하고 겁내지 않고 개성을 표현한다면, 언젠가는 그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나만의 멋진 스타일을 갖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