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공화국 지구법정 1 자모사이언스 20
정완상 지음 / 자음과모음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주 과학 수행평가때 반에서 유일하게 만점을 받았다는 우리 중딩이.

요즘 과학필독서로 과학공화국을 끼고 살더니 그 효과를 톡톡히 보는 건가요.

이번 주엔 다른 행성보다 내가 살고 있는 지구가 제일 궁금하다며 지구법정을 꺼내 읽어댔다.

과학공화국 지구법정 1 지구과학의 기초편은

총 10장으로 나누어 우리 주변에 있는 생활 속 지구과학에 관한 사건들을 담아놓았다.

지구에 수많은 광물이 있지만 그중 가장 값어치가 나가는 금에 대한 사건이다.

금과 비슷한 광물이 있다는 건 이번에 알았네.

금이 아니지만 금처럼 보이는 광물 황철석.

겉만보고 판단하면 안되는 건 광물도 마찬가지구나.

가짜 금을 구별하기 위해선 조흔판이라는 도자기 판에 광물을 그어보면 알 수 있다.

광물을 그었을때 검은 선이 그려지면 황철석, 금빛 선이 그려지면 황금이니까.

지구는 살아있는 행성이라고 표현을 하기도 한다.

지구 맨틀 아래 저 깊은 곳에 암석들이 녹아 흐르는 마그마가 있기 때문이다.

맨틀 속의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튀어나오는 것을 화산이라고 하고

그때 밖으로 흐르는 마그마가 바로 용암이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도 활화산인 백두산이 있으니

화산폭발, 용암의 성질에 대해선 잘 알아 둘 필요가 있겠다.

용암이 흐르는 속도는 사람이 뛰는 속도보다 느리나 문제는 그 양이 워낙 방대하다는 점이다.

엄청난 양의 용암을 멈추게 하긴 쉽지 않겠지만

포기하지 말고 지형을 적극 활용하며 용암의 느린 속도를 계산에 대책을 마련해 두어야겠다.

지구가 살아있는 행성이라 말할 수 있는 또 하나는 대륙간의 이동이다.

아주 오래전 지도와 지금의 지도를 비교해 보면

바다였던 곳이 육지가 되고 붙어있던 땅이 떨어져 있는 걸 알 수 있다.

지구가 판게아라는 하나의 대륙이었다는 사실은 중1 과학 교과서에서 나오는 바.

우리 중딩이는 교과서 속 지도그림을 펼쳐 보며

똑같은 화석이 아주 멀리 떨어진 두 지역에서 발견 될 수 있음을 설명해주었다.

<과학성적 끌어올리기>에서 판게아 대륙의 비밀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 놓았다.

이 비밀을 알려면 거대한 대륙이 움직이는 판구조론과

땅이 내려앉는 침강, 혹은 솟아오르는 융기를 합친 조륙운동을 함께 이해해 두어야겠다.

다소 어려울 수 있는 과학용어가 나오지만 이해하기 쉬운 설명들로

앞서 읽은 법정공방을 떠올리며 읽으니 과학공부 내공쌓기에 그만인 것 같다.

요즘 지구 환경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지구의 온도 상승은 우리 모두가 심각하게 생각해야 할 문제이다.

지구의 온실효과는 들어봤는데 이것이 초원과는 무슨 관계인 것일까?

인간이 지구의 온실효과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반면

그 많은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게 바로 식물이다.

지구를 인간이 계속 살 수 있는 행성으로 유지하려면 식물의 힘이 꼭 필요하구나.

지구의 허파라 불리우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점점 훼손되는 것을 막아야 하는 이유를 다시금 깨달았다.

지구에서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늘 볼 수 있는 달은 지구의 하나밖에 없는 위성이다.

가까운 듯 하지만 달과 지구의 다른 점 때문에 발생한 사건의 핵심은 공기 때문이었다.

지구에는 있지만 달에는 없는 공기.

공기가 없는 달에서는 공기가 누르는 압력인 대기압도 없다.

대기압이 없는 달에선 기압의 차이를 이용해 액체를 빨아들이는 빨대가 무용지물인 셈이다.

공기가 없어 바람이 불지 않는 달에선 기압도 없으므로 빨대를 사용할 수 없구나.

공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달았네.

달과 지구의 다른 점은 공기뿐만이 아니었다.

지구의 하루와 달의 하루 또한 달랐다.

보통의 하루는 행성이 스스로 한 바퀴를 돌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달이 한 번 자전하는 동안 지구를 한 번 공전해서 달의 일 년과 하루가 같구나.

과학공화국 법정시리즈에서 지구법정은 총 10권이던데 그거 모두 읽어보고 싶다는 우리 중딩이.

우리가 사는 지구는 물론 태양계 주변 행성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까지 지구법정으로 알아보자.

과학공화국 덕분에 과학공부에 대한 흥미가 한 단계 더 높아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