뿐뿐 과학 도감 : 우주 - 캐릭터와 놀았을 뿐! 지식이 절로 쌓였을 뿐! 뿐뿐 과학 도감 7
이토 미쓰루 그림, 정인영 옮김, 와타나베 준이치 외 감수 / 다산어린이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뿐뿐 캐릭터가 이번엔 과학을 만났다.

초등 과학이 쉬워지는 과학 캐리터 도감 탄생.

뿐뿐 과학 도감 우주편

우주에 존재하는 천체들에 관한 궁금증을 귀엽고 독특한 우주 캐릭터들이 알려주었다.

우주가 막 궁금한 초등생도

우주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은 초등생도

모두 함께 읽으면 좋을 우주 안내서라 하겠다.

 

우리는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를 떠올리곤 한다.

우주란 도대체 어떤 것이기에?

우주는 모든 천체를 포함한 공간이라는 뜻이다.

천체,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를 통틀어 가르키는 말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행성 뿐만만 아니라

우주에 떠다니는 먼지나 가스, 정체물명의 모든 물질들까지 모든 것을 가리킨다.

 

뿐뿐 과학 도감 우주편은 5개의 챕터로 나눠져 있다.

그 중에서 우리 형제들은 역시 지구가 속해 있는 태양계에 가장 큰 관심을 가졌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정도는 이미 잘 알고 있는 우리 초등생들.

 

지구가 기적의 별이라고 불리우는 건 생명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과 산소가 있어 생명이 살기 적합한 환경인데 이것은 태양과의 적당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기에 가능하다.

지구는 70%가 바다로 이루어져 있어 육지보단 바다의 면적이 훨씬 크다.

우주와의 연관 관계는 <더 알고 싶어! 우주>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해 주었다.

지구와 우주의 연관성은 일식과 월식이구나.

 

 

우리 초3은 태양계 행성 중 화성에 대해 관심을 보였다.

화성이 붉게 보이는 건 산화된 철이 표면을 덮고 있는 모래와 암석에 섞여 있기 때문이다.

태양계 행성 중 지구 바로 옆에서 돌고 있어 망원경으로도 관찰이 가능하다.

행성 중 지구와 환경이 가장 비슷하니 먼 미래엔 지구인들이 화성에 사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태양계엔 우리가 알고 있는 행성말고 다양한 천체가 있다.

명왕성, 에리스, 마케마케, 케리스를 행성보다 작은 천체 왜행성이라고 한다.

 

 

왜행성이 발견된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구나.

왜행성들은 행성과 비교했을 때 크기가 아주 작다.

명왕성도 처음에는 태양게의 아홉 번째 행성으로 분류되었다가 크기나 다른 행성들과 차이점을 밝혀져

지금은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구분한다.

 

 

밤하늘에 유성 즉 별똥별을 본적이 있는가?

떨어질때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는 말이 있는데

유성이 떨어지는 시간은 1초도 안되니 소원빌기는 쉽지가 않다.

지구에서 볼땐 한줄기 반짝이는 빛으로 보이지만 사실 유성은 우주를 떠다니는 먼지이다.

유성이 지구 대기로 들어서면 뜨거워져서 빛이 꼬리처럼 길어진다.

간혹 유성이 너무 커 불이 붙지 않을 땐 운석이 되어 지구에 떨어지는데 몇 년 전 우리나라에서도 발견되었다.

 

 

행성, 왜행성에 이어 항성은 또 뭘까.

밤하늘에 빛나는 별은 대부분 항성이라고 한다.

항성은 스스로 반짝일 수 있는 천체이다.

항성도 우리처럼 새명이 있고 나이를 먹어 마지막엔 죽는다니 새롭게 알게된 사실이 놀랍다.

 

생소한 항성 중에 들어본 이름이 있는데 그건 초신성.

새로운 별이라고 생각했던 초신성은 사실 항성의 마지막 모습이라고 한다.

적색 초거성이 마지막을 맞으면 초신성 폭발을 이르킨다.

초신성의 폭발은 딱 한번 일어나는데 태양이 평생 동안 내보내는 양과 같은 에너지를 뿜는다니

정말 어마무시한 위력의 대폭발이라 하겠다.

 

빛마다 삼켜버리는 검은 구멍 블랙홀.

블랙홀은 적색 초거성이 초신성 폭발을 한 다음 생긴다.

엄청난 중력 때문에 한번 들어가면 다시 빠져나가지 못하니 그래서 블랙홀의 비밀은 여전히 수수께끼인가 보다.

 

 

페이지마다 각 천체의 중요한 특징이며 구성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이해를 돕는데

특히 <더 알고 싶어! 우주><뿐뿐 우주 사전>에선 천체와 관련된 지식을 알려주니까

우리 초등생들은 빼놓지 않고 읽었다.

 

3학년 지구의 모습

5학년 태양계와 별

6학년 지구와 달의 운동

 

교과 연계도 되는 뿐뿐 과학 도감 우주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