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하루 어휘 3단계 - 2~3학년 똑똑한 하루 어휘 3
천재교육(참고서) 편집부 지음 / 천재교육 / 202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 저학년을 좀 여유롭게 보낸 우리 3학년

본격적으로 국어공부를 해보려는데

하다보니 어휘에서 종종 난감함을 느꼈다.

연산이 수학의 기초라 한다면

어휘는 국어의 기초가 아닐까.

모든 공부의 기본 국어, 그 기초가 되는 어휘를

쉽고, 재미있게 배우며 똑똑해질 수 있는

초등어휘문제집 똑똑한 하루 어휘.


똑똑한 하루 어휘는 학년별 총 6권 구성으로

현 3학년인 우리 남자3호는 3단계부터

차근차근 풀어보기로 했다.


 


 

똑똑한 하루 어휘 5주 스케줄표

1주부터 5주까지 주5일로

매주 마지막 5일차엔 그 주 어휘 테스트가 있다.

하루 공부 분량과 주제 어휘를 알려주는데

그날 공부가 끝난 다음엔

정답지 앞면에 있는 붙임딱지를 떼서 붙인다.

요런건 우리 3학년이 참 좋아하지.




똑똑한 하루 어휘 3단계 한 권에는

130여 개의 어휘가 담겨 있다.

주제 어휘, 교과 어휘(국어),

알쏭 어휘, 교과 어휘(사회), 한자 어휘 순으로

매 주 순차적으로 공부한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말

평소에 헷갈리기 쉬운 말

학교 공부에 꼭 필요한 말

자주 사용되는 한자어


 

크게 네 가지 성격의 어휘를

마인드 맵, Q&A만화, 꼬리물기, 한자바퀴

네 가지 방식으로 배워본다.

 

 

생활 속 어휘나 자주 쓰지만

정확히 모르는 어휘를 주제별로 떠올리며

배우는 주제 어휘는 QR코드가 있어

자세히 참고하여 더 자세히 공부했다.



 

<날을 나타내는 말>이 이렇게 다양하다니

우리나라 말이 쉽지 않는 것을 느끼는 3학년.

오늘, 내일, 모레, 글피...

하루 전 날을 어저께, 줄여서 어제.

그저께는 그제, 그끄저께는 그끄제.

날을 셀때는 숫자로도 세지만 우리말도 있다는 사실.

하루, 이틀, 사흘, 나흘...

15일은 열닷새라고 하는데 보통 보름으로 잘 쓴다.

특히 제일 어려웠던 건 두 날을 아울러서 표현하는

사나흘, 네댓새, 대엿새, 예니레...



 

앞쪽 주제 어휘를 잘 익힌 다음

쑥쑥어휘와 퀴즈어휘를 풀어보았다.

문제를 풀면서 어휘력을 키우고

퀴즈로 앞의 어휘들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교과 어휘는 주요 교과목인 국어, 사회, 과학에

관련된 기초 어휘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똑똑한 하루 어휘

꼬리에 꼬리를 무는 학습 방법을 이용한다.

날씨를 시작으로

일기 예보, 기상청, 강우량, 강수량으로

이어서 연상 어휘를 배울 수 있다.


 

날씨를 다른 말로 일기라고 하고

일기를 알려주는 게 일기 예보

일기 예보를 하는 곳이 기상청이며

기상청에선 강우량과 강수량을 알려준다.



 

 

 

한자 어휘는 대표 한자를 통해

연관 한자어까지 알아보았다.

우리말에서 한자어를 잘 모르면 고학년이 될수록

막히는 어휘들이 종종 발생 할 수 있다.

자주 쓰는 한자 어휘는 뜻을 잘 익혀두면 좋겠다.



 

 

한 주의 배운 어휘를 정리해보는 시간.

5일차 마지막에 있는 테스트 페이지.

어휘를 얼마나 잘 기억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틀린 어휘는 다시 공부를 해보았다.



 

1주 1일차 학습땐 역시 날을 셀 때 쓰는

우리말을 어려워 했다.

10일 즉 열흘 다음엔 열을 붙여

열하루, 열이틀, 열사흘, 열나흘을 기억하고

보름, 네댓새, 대엿새는 어떻게 쓰이는지

다시 한번 익혔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학습만화로

재미나게 어휘를 배워보는 알쏭어휘.

이름처럼 헷갈리는 말이나

뜻에 따라 쓰임이 다른 말,

잘못 표기하기 쉬운 말을 배워보는데

알쏭 어휘 속 어휘를 제대로 익힌다면

어른이 되어서도 어휘를 틀리게 쓸 일은 없겠다.



 

강우량은 비 우를 써서

땅에 내린 비의 양을 뜻하고

강수량은 물 수를 써서

땅에 내린 모든 물의 양을 뜻한다.

우리 남자3호가 유독 아리쏭하던 부분.

문제에서도 그만 틀리고 말았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이해하고 기억하길 바라며...



 

 

1일 5일차 첫 한자 어휘는 백성 민을 배웠다.

자기 이름에 들어가는 한자라고 열심히!

대한민국의 '민'에도 이 한자를 쓰이는 걸 알고

대한민국의 뜻을 궁금해 했다.

대(大 큰 대) 한(韓 나라이름 한) 민(民 백성 민) 국(國 나라 국)



 

 

제일 어려워 했던 어휘가 테스트를 통해 딱 나타났다.

예니레는 엿새 또는 이레를 나타내는 말이니

앞으로는 잘 기억하자!



 

똑똑한 하루 어휘 마무리는

스케줄표에 그날 붙임딱지 붙이기.



 

 

어휘가 부족하면 국어 공부에도 구멍이 생기는 법.

국어 공부에 구멍이 생기면 전체 공부는 더 힘들어진다.

어휘는 말의 기본이다.

일상 생활 속 주제로 쉬운 어휘부터

교과목별 개념 어휘까지 잘 익혀

똑똑해지는 그날까지 어휘공부는 계속된다 쭈우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