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옆의 작은 과학 2
나카가와 히로타카 지음, 오카모토 요시로 그림, 황세정 옮김 / 상상의집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과학 원리를 예쁜 그림책으로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 <내 옆의 작은 과학> 두번째 이야기는 바로 에 관한 것이다.

망은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편리하게 해주는 매우 훌륭한 도구라 할 수 있다.

망은 어떤 원리로 우리는 망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설명해주는 과학 그림책이다.

 

 

아이들은 가끔씩 자연에서 망을 찾아낸다.

촘촘하고 끈적끈적한 거미줄이 바로 그것이다.

거미가 덫으로 친 망.

망의 원리를 하나 찾은 셈이다.

옴짝달싹 할 수 없게 막는 것이 망의 기본 원리다.

 

 

거미줄과 비슷한 망은 무엇이 있나.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어망, 그물이다.

거미는 거미줄이라는 망으로 먹이를 잡고 어부는 그물로 물고기를 잡는다.

우리가 거미줄을 보고 망을 연상시키듯 옛날 어부 아저씨들도 거미줄을 보고 망을 만들었는지 모른다.

 

 

아이들에게 또 망은 어디에 있는지 찾아보라 했더니 망설임없이 방충망을 가르켰다.

벌레보다 작고 촘촘한 칸으로 이루어진 방충망은 벌레는 막고 바람은 통하게 하는 걸 알 수 있다.

두번째 망의 원리는 바로 통과다.

망은 쓸수록 우리에게 편리함을 주는 도구였다.

 

 

여름철 매미와 같은 곤충 채집을 위해 필요한 것도 망이다.

급한대로 만든 비닐봉지로는 좀처럼 매미가 잡히지 않는다.

그건 왜일까?

망의 원리, 공기의 통과가 되지 않으니 곤충은 쉽게 잡을 수 없는 것이다.

 

 

망의 기본 원리 이해는 잠자리채나 그물 같이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것들로 충분하다.

흔히 볼 수 있는 망을 주의깊게 살펴보면서 몰랐던 새로운 과학적 원리를 깨달은 것처럼

작은 사물들 하나하나 깊게 넓게 생각하고 관찰하며 살펴보는 연습을 해보는 건 어떨까 싶다.

과학은 멀리 있지도 어렵지도 않다고 우리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책

<내 옆의 작은 과학>시리즈

 

 

그렇다면 망은 또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

요즘 같은 집콕기간에 심심해 하는 아이들과 집안 망찾기 놀이를 해보는 것도 좋겠지.

방충망, 파리채, 세탁망, 채반 등등

망은 찾으면 찾을수록 참 다양한 형태로 그 쓰임도 정말 많다는 걸 알았다.

함께 사물을 자세히 살펴보면 습관을 들인다면 아이들의 관찰력은 자연스럽게 키워지겠다.

 

 

아이들이 즐겨 이용하는 인터'넷'도 망을 뜻하는 영어이며

학교에서 쓰는 비상 연락'망'도 같은 망을 뜻한다고 하니

망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더 밀접하고 어디에나 쓰이고 있다는 걸 알았다.

 

 

소소한 일상 속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생활 과학

그림책으로 만나본 과학 이야기

그림책 한 권을 읽었을 뿐인에 우린 과학 원리 하나를 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